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시상식이 이뤄지는 10월에 시상된다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미국 과학
기술
계의 '딴지일보'격인 '있을 법하지 않은 연구 연보'(Annals of Improbable Research)가 1991년 제정했다탄소와 수소로 이뤄진 탄화수소라 불리는 무색·무취의 화합물의 하나로서 분자식은 CH₄로 표시된다 지구에서 가장 ... ...
세계 최대의 온라인 가상연구소 '이노센티브' 출범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노센티브를 만들었다. 이노센티브는 과학자에게 미래 R&D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과학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개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특정 기업이나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세계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한국어 사이트를 출범한 이유는?한국은 과학이 상당히 발달했고 교육수준이 아주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앞으로 연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방탄차 자체도 탑승자를 보호하는 첨단
기술
을 적용한 미래형 차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방탄차가 부가가치가 큰 상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전세계 자동차 회사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나 BMW처럼 일반인에게 방탄차를 ... ...
빛의 변화에 따라 위치 표현하는 광마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표면 이미지의 변화를 감지해 수치로 나타내는 부분이다. 이를 광학항법(optical navigation)
기술
이라고 한다. 보통 8백dpi(인치당도트수, dots per inch)해상도 정도면 쓸만 하다고 말한다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중 ‘암관련 후보유전자 기능연구’ 과제의 연구책임자인 한국과학
기술
원(KAIST) 생명과학과 임대식 교수와 송민섭 박사. 임 교수와 송 박사 연구팀은 인체 내에서 폐암, 위암, 간암, 뇌암 같은 여러 암이 발생하고 증식하는 과정을 억제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던 항암 유전자 ‘라스에프원에이’(RASSF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한 국가의 산업과 안보 능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국력의 바로미터다. 유인우주
기술
의 가장 핵심 분야가 바로 우주인 양성이다. 중국도 달 탐사 ‘항아’ 계획을 추진 중이고, 일본 이에 질세라 유인우주선 ‘후지’ 개발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에서는 고도 1백km까지 승무원 3명을 태우고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된다.이를 심리학에서는 ‘바넘 효과’(Barnum effect)라고 부른다. 바넘 효과는 이런 성격
기술
문 안에 교묘하게 숨겨져 있는 모순을 알아채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외향적이지만 내성적이다’ 라는 주장 속에 담겨진 모순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바넘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다.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인터넷 관련회사들의 자율 규제, 국제 협력이 필요한 것은 바로 이같은 이유에서다.
기술
적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에 법 제도와 사회적 약속으로 보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합리적인 제도 개선안으로 떠오른 것이 옵트인 방식이다. 옵트인이란 수신자가 사전에 수신을 허락한 발송자만이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출전이 결정됐다. 경남과학고 김종욱 외 2인의 연구도 올해 안에 과학
기술
논문색인(SCI) 등재저널에 발표될 예정이다.넘어야 할 산 많아이번 과제에 참여한 학생과 교수, 전문가들의 긍정론에도 불구하고 고교생 연구가 대중화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이상천 교수는 “교육과정에서 실험실습을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우주인들은 대부분 국가적 영웅이자 세계적인 유명인사가 됐다. 그 명성을 과학과 우주
기술
발전에 쓴다면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과학동아 독자들도 꿈을 갖고 우주인에 도전하기를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각국의 최초 ... ...
이전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