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마녀의 외침 “난 억울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2호
세
아이는 뱀파이어의 방에서 나와 기다란 복도를 따라 걷기 시작했어요.복도 벽에는 먼지 쌓인 액자가 여러 개 걸려 있었어요. 앞서가던 이나는 액자 ... 위로에 히파티아는 눈물을 그쳤어요. 그때 복도 전체가 크게 흔들리기 시작하더니
세
아이의 눈앞에 다시 악마가 모습을 드러냈어요 ... ...
내 이름은 파랑? 초록?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유하자면 따뜻한 색은 ‘빨강’ ‘노랑’ ‘주황’ 등으로
세세
히 이름을 붙인 반면, 차가운 색에서는 ‘초록’으로 여러 색을 뭉뚱그려 표현한 것이다. 실제로 다른 100개의 언어를 분석한 결과도 치마네족의 실험 결과와 비슷하게 따뜻한 색을 표현한 말이 차가운 ... ...
[특집] 피타고라스의 정리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거예요. 한 각이 직각(90°)인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 하지요.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세
변 중에 직각과 마주보는 비스듬한 변을 특별히 ‘빗변’이라고 불러요. 그런데 두 변과 빗변 사이에 신기한 법칙이 있어요. 바로 (밑변의 길이×밑변의 길이)+(높이×높이)=(빗변의 길이×빗변의 길이) 라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나왔습니다. 영상 속의 아이는 땅고양이 새끼 두 마리를 안고 있었습니다. “우리 조
세
핀이 새끼를 낳았어요. 임신해서 예민했었나 봐요. 덕분에 무사히 새끼를 낳아서 안부 전해드려요~.”또 다른 상자를 열자 두툼한 모자와 장갑, 장화, 귀마개 같은 방한용품이 잔뜩 나왔습니다. 역시 홀로그램 ... ...
[매스크래프트] #23. 나에게 빠져 빠져! 미로의 숲!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표시가 있습니다. 규칙 ⓓ에 따라 표시가 있는 길을 따라가면 되겠네요. 다시 만난
세
번째 갈림길은 규칙 ⓑ에 따라 아무런 표시가 없는 길을 따라갑니다. 휴~. 갈림길 또 등장! 다섯 번째 갈림길에선 오른쪽으로 가볼게요. 그럼 막다른 길이 등장해 되돌아 나와야 합니다. 규칙 ⓑ에 따라 아무런 ... ...
[게임디자인 씽킹] 캐릭터를 돋보이게! 명도 차이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배경과 캐릭터 사이의 명도 차이를 살펴보
세
요. 또 어떤 느낌을 주는지 생각해 보
세
요! 그 내용을 ‘폴리매스 홈페이지-게임 디자인 씽킹’ 게시판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 ...
[과학뉴스] 동의없는 ‘불멸
세
포’ 채취 유가족, 생명공학 회사 제소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당시 에린 오시아 HHMI 소장은 “과학과 의학이 공정해지려면 아직 갈 길이 멀지만 헬라
세
포가 부당하게 획득됐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엔지니어의 손 끝, 누리호 심장을 빚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탑재될 때까지 계속 보수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연소시험 후에는 분해해 깨끗하게
세
척하고 건조한 뒤 다시 조립해야 한다. 엔진 설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다. 매주 항우연 연구팀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엔지니어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검증하며 엔진 형상을 개선했다. 여러 개의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뇌연결망지도)을 비롯해 앞으로 뇌 연구가 직면한 문제도 살펴본다. 뇌는 지금까지
세
상에 알려진 모든 물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존재다. 두툼한 책의 마지막 장에 닿으면 깨닫게 될 것이다. 여전히 우리는 뇌에 관해 밝혀야 할 게 많다는 사실을 ... ...
[기획]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키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모습은 어떻게 바뀌게 될까요? 강▶의학과 공중보건체계의 발달로 1900년대 전까지 약 40
세
였던 인류의 수명은 거의 2배가 되었습니다. 오래된 장기가 고장 났을 때 장기를 교체할 수 있는 인공장기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인류의 수명은 한 번 더 획기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손▶인공장기 기술의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