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언어를 사용해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더 자
세
히 배우면 좋겠습니다. 안녕하
세
요. 대구 태전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김규민입니다. 로블록스에서는 다른 사용자가 만든 공간에서 놀기만 했는데 이번 기회에 직접 내 공간을 만들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직접 공간을 만들어보니 지형을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사회 전역으로 가로쓰기가 퍼졌지만 신문에 도입한 것은 1988년 창간한 한겨레가 최초다.
세
로쓰기용 글꼴은 글자를 같은 높이로 맞추기 위해 네모꼴 안에 짜여야 했다. 네모꼴 글꼴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자음과 모음 28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1만 1172자를 모두 만들어야 한다. 1900년대 중반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여야 양당 의원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혁신형 SMR 국회포럼’도 출범하며 정계도 차
세
대 에너지원 개발에 합심하고 있다. 김 교수는 “뉴스케일파워의 기술을 그대로 따라 할 게 아니라 이제는 보다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라며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비를 더 낮추는 등 ... ...
토끼 약국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바꿨어요. 그런데도 토끼네 식당은 전국구 맛집으로 유명해졌어요.“새치기하지 마
세
요!”토끼 식당에 줄 선 사람들의 고함을 듣자, 별주부와 꿀록 탐정, 개코 조수는 허무한 웃음이 터져 나왔답니다 ...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현재 울릉도와 그 부속섬을 다스렸던 나라로 독도 역시 부속섬 중 하나였습니다. 1454년
세
종실록지리지에는 ‘우산(독도), 무릉(울릉도) 두 섬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다’고 적혀 있어요. 일본에게 독도가 우리땅임을 확인받은 사건도 있습니다. 숙종실록에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수학자 모두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위상 수학으로 고체 물질의 성질을 밝힌 연구자
세
명 데이비드 사울리스(미국 워싱턴대학교 교수), 덩컨 홀데인(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마이클 코스털리츠(미국 브라운대학교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됐기 때문입니다. 이후 이 분야는 더 넓어져 고체 물질뿐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빛이 아니라 실제 하늘에 떠 있었던 물체였음이 확인됐다. 분석2. 독립된 광원일 가능성
세
개의 광원이 어떤 하나의 물체에 속한 여러 개의 광원인지 아니면 개별 물체에서 발생한 빛인지 밝히고자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했다. 그 결과 광원은 각각의 독립적인 개체일 가능성이 높아 ... ...
글꼴에
세
상을 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매체와 일상을 장악한지 이미 오래된 시기인 2006년에 나온
세
로쓰기 전용 서체다. 그는 “
세
로쓰기는 한국의 문자 생활에서 가로쓰기보다 훨씬 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며 “꽃길체를 보며 글꼴 디자인을 할 때 당장 필요한 것이나 앞으로 유용할 것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존재했던 문화도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옛사람들과 함께 살다 보니 논밭의 진흙을 재료로 처마 밑에 둥지를 지었죠. 새들은 집
세
대신 재잘거리는 새소리를 들려주고 해충을 잡아줬습니다. 건강한 새 둥지가 다시 자리 잡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 동물 털을 뽑아 둥지를 짓는 박새의 이야기로 돌아가 봅니다. 정말 유튜브에 털 도둑질을 ... ...
[논문탐독]
세
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등 알려지지 않던 사실도 여럿 발견했습니다. 현재 필자의 연구팀은 이 현상을 더 자
세
히 들여다보기 위해 이 지역의 집중호우 발생 기작을 연구하고 있습니다.인간의 발길이 닿기 힘든 해양과 격오지에서 발생하는 기상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상위성 연구는 잠재력이 큽니다. 놀라운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