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2개의 다른 경로로 동시에 보내져 처리된다. 측두엽에 보내진 정보는 물리적 성질(크기
모양
색)을 판단하고 두정엽으로 보내진 정보는 공간적 성질(물체상호의 위치관계)을 처리한다. 그리고 측두엽과 두정엽으로부터의 정보는 기억저축장이라 생각되고 있는 해마와 편도핵으로 보내진다. 해마나 ... ...
생명의 신비에 도전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여름방학중에 혼자서 공부해본 골학(骨學)은 정말로 매혹적인 것이었다. 뼈 하나 하나의
모양
과 구조, 그 뼈가 하는 일들을 하나씩 공부해 나감으로써 인체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었다. 경악에 가까울 정도의 완벽한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신의 최고의 작품이라는 찬사가 저절로 ... ...
국내최초로 「용오름」촬영에 성공 울릉도 앞바다의 500m 물기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기류형태가 뚜렷했다. 수직기둥윗부분의 구름은 점차 흩어지는
모양
을 보였다.●11시8분경수직기둥의 형태는 상단에만 나타나고 회전속도가 현저히 약해졌으며 해변에서의 소용돌이도 점차 약화됐다.●11시10분경용오름은 거의 소멸됐고 해면에서는 소용돌이만 현저히 약화된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전 지구표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앙을 정확히 밝힐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지진이 띠
모양
의 특정한 지역을 따라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전 지구 표면에서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지역은 없지만 특히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지진대라고 부른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 지진대로는 ... ...
포터블 전자식 타자기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을 동시에 타이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 타이핑속도가 종전보다 배이상 빠르고 글자
모양
도 인쇄체처럼 세련돼 사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금성사는 이 타자기가 휴대와 조작이 간편한 데다 가격이 싸 학생용, 실업계 고교 실습용으로 적합하다고 발표했다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횟감으로 쓴다. 얇게 베어낸 한점한점을 접시의 바깥쪽에서 가지런히 놓아 들어간다. 그
모양
은 마치 큰 국화송이가 펼쳐져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먹을때는 중심부에서 꽃잎을 한잎 한잎 떼어내듯 집어낸다.복요리는 이밖에 살을 찐 수육, 얼큰한 양념과 함께 끓인 매운탕, 담백하게 끓인 국…등 ... ...
실제 크기에 근접, 남·북위 38도 기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공
모양
으로 되어있는 지구의 표면을 평면에 정확히 표시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현재의 기술로도 완전한 평면지도 작성은 불가능한 일. 그러나 지금까지 쓰이고 있는 지도에는 남·북극지방이 지나치게 크게 그려져있어 미국 지리협회가 대폭 수정한 '로빈슨도법'을 채용키로 결정했다 ... ...
겨울여왕이 펼치는 동화의 세계 얼음꽃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눈물방울 같은 것도 있고 침봉(針峰·꽃꽂이 도구)같은 것도 있으며 암염과 같은
모양
도 있다.아침 이슬이 얼어붙은것도 있고 수증기가 얼음이 되어 나무잎이나 꽃잎에 달라붙은 것도 있다. 얼음이 덮인 거미줄. 이것만큼 불가사의 하고 그러면서 또 그렇게 시적인 것이 달리 또 있을까. 거미는 ... ...
빛좋은 개살구―맛도 없고 영양가도 낮아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온도 등을 잘 맞춰주면 자연재배보다 크게 뒤질것은 없지만 농가에서는 과일, 채소의
모양
이나 다수확에나 많은 신경을 쓰고 있고 또 중간에 상하는 것을 막기위해 덜 익은 것을 내놓기 때문에 맛과 영양이 크게 뒤지는 것이다. 맛과 영양은 과일이나 채소의 여러 성분의 미묘한 조합에 따라 ... ...
소리를 알아듣는 전기달팽이관 출현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안에 있는 나선형의 기관으로 소리를 받아 청각신경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달팽이
모양
으로 생겨 달팽이관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따라서 와우가 고장나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이치. 이 망가진 와우를 대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전기와우이다. 전기와우는 귀에 장치하는 ... ...
이전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