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통의 전모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쉽게 알아낼 수 있다.대동맥이나 말초혈관벽의 일부가 혈관벽 밖으로 삐져나와 주머니
모양
(종유)을 이룰 때도 허리가 아파온다. 이때의 요통은 걸으면 악화되고 서있으면 호전된다.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등 척추에 부담을 주는 운동을 해도 통증이 악화되지 않는 게 특징 ... ...
공부 좀 하면 머리가 아파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때는 구토증세가 온다. 이어서 눈의 증상 즉 시력이 약해지고 약반수가량에서 눈앞에 별
모양
의 섬광이 보인다.이런 예고편 후에 두통발작이 온다. 맥박치듯 욱신거리고 찌르는 것 같은 통증도 있다. 안구통 반신마비 언어장애도 수반할 수 있다. 얼굴이 붉어지고 식은 땀 눈물 콧물 재채기도 나온다 ... ...
겨울여왕이 펼치는 동화의 세계 얼음꽃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눈물방울 같은 것도 있고 침봉(針峰·꽃꽂이 도구)같은 것도 있으며 암염과 같은
모양
도 있다.아침 이슬이 얼어붙은것도 있고 수증기가 얼음이 되어 나무잎이나 꽃잎에 달라붙은 것도 있다. 얼음이 덮인 거미줄. 이것만큼 불가사의 하고 그러면서 또 그렇게 시적인 것이 달리 또 있을까. 거미는 ... ...
포터블 전자식 타자기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을 동시에 타이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 타이핑속도가 종전보다 배이상 빠르고 글자
모양
도 인쇄체처럼 세련돼 사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금성사는 이 타자기가 휴대와 조작이 간편한 데다 가격이 싸 학생용, 실업계 고교 실습용으로 적합하다고 발표했다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횟감으로 쓴다. 얇게 베어낸 한점한점을 접시의 바깥쪽에서 가지런히 놓아 들어간다. 그
모양
은 마치 큰 국화송이가 펼쳐져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먹을때는 중심부에서 꽃잎을 한잎 한잎 떼어내듯 집어낸다.복요리는 이밖에 살을 찐 수육, 얼큰한 양념과 함께 끓인 매운탕, 담백하게 끓인 국…등 ... ...
실제 크기에 근접, 남·북위 38도 기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공
모양
으로 되어있는 지구의 표면을 평면에 정확히 표시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현재의 기술로도 완전한 평면지도 작성은 불가능한 일. 그러나 지금까지 쓰이고 있는 지도에는 남·북극지방이 지나치게 크게 그려져있어 미국 지리협회가 대폭 수정한 '로빈슨도법'을 채용키로 결정했다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전 지구표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앙을 정확히 밝힐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지진이 띠
모양
의 특정한 지역을 따라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전 지구 표면에서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지역은 없지만 특히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지진대라고 부른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 지진대로는 ... ...
국내최초로 「용오름」촬영에 성공 울릉도 앞바다의 500m 물기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기류형태가 뚜렷했다. 수직기둥윗부분의 구름은 점차 흩어지는
모양
을 보였다.●11시8분경수직기둥의 형태는 상단에만 나타나고 회전속도가 현저히 약해졌으며 해변에서의 소용돌이도 점차 약화됐다.●11시10분경용오름은 거의 소멸됐고 해면에서는 소용돌이만 현저히 약화된 ... ...
컴퓨터 문자코드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서로 다른 장치 사이에 문자의 자형(화면의 화상 문자 정보나 프린터에 인쇄되는 문자의
모양
을 font 또는 문자 pattern이라함)으로써 정보를 교환하면, 한문자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개의정보단위가 필요하고, 이에따라 정보교환시에 많은 양의 자료를 주고 받음으로써 시스팀 전체의 효율이 저하되는 ... ...
소리를 알아듣는 전기달팽이관 출현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안에 있는 나선형의 기관으로 소리를 받아 청각신경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달팽이
모양
으로 생겨 달팽이관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따라서 와우가 고장나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이치. 이 망가진 와우를 대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전기와우이다. 전기와우는 귀에 장치하는 ... ...
이전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