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관·박물관을 찾아⑪ 각종 로킷과 우주선을 직접 눈으로 우주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무중력 체험장치도 있다. 마치 로킷처럼 높게 만든 실린더 장치내부에 있는 공
모양
의 캡슐속에 사람이 들어가 앉으면 공기부양에 의해 7.6m 높이까지 상승했다가 자유낙하를 하게되는데, 이때 무중력상태를 체험하게 된다는 것.이상의 우주관련전시물 외에 우주영상관도 있어 22X11m 크기의 화면에서 ... ...
'88노벨과학상 -업적과 프로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이용한 것이다. 그들은 암세포와 친한 핵산에 그들이 개발한 항암제를 결합시켜 핵산의
모양
을 변화시켜 놓았다.그러면 암세포는 불량품이 된 핵산을 사용, DNA를 합성하게 되고 결국 이런 DNA를 가진 암세포는 오래 생존하지 못할것이다.그런데 정상세포가 불량품 핵산을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 ... ...
일부러 선택한 '고생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뜻하지 않게 우연히 맺은 인연은 쉽사지 지워지지 않는다. 우리는 꽤나 우연을 좋아하는
모양
이다. 우연적인, 다시 말해서 확률상 발생 가능성이 희박한 일이 주어졌을 때 주인공은 신의 은총을 느끼게 되다.그러나 한편으로는, 우연을 몹시 거부하는 모습도 보인다. 그렇게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 ...
범용성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때 화면이 무척 복잡해지게 되고 특히 도표가 그려진 화면상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그
모양
의 파손이 불가피하게 된다. 하지만 이 숨은 코드의 기능은 이러한 명령 상태를 화면 상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다만 밝거나 밑줄로써 표시만 해주기 때문에 화면 편집에 도움을 주며, 명령의 취소시 숨은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이것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빛을 비추면 이 띠들은 재빨리 굴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이 띠
모양
을 한 것이 코이며 코에서 나오는 점액으로 곤충을 잡아 먹는다. 이 수아비스는 아직까지 사육에 성공한 예가 없다.마몬톱스(Mamontops ursulus)나이 많은 수컷을 리더로 하여 작은 무리를 이루고 지낸다. ... ...
새로운 한글 필기체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연결고리를 둔다는 것. 그리고 현재 이 자체를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모양
을 조금씩 바꿔나갈 예정이다현재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일기 등에 이 자체로 글을 쓰고 있는 장씨는 나름대로 체계를 세워서 조그만 책자를 발간한 이유를 "여러 사람에게 알려서 한번 검증받고 싶은 ...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정말 숨막히는 아름다움을 선사한는 것이었다. 바이칼호에는 그래서 기이한 전설도 많은
모양
이다.섬이 30여개바이칼호에는 섬이 30여개나 된다. 각 섬은 조금씩 다른 기후를 나타내며 따라서 다른 식물군(群)과 동물군을 갖고 있다.취재팀이 가장 큰섬인 '올혼' 섬을 지날때 한쪽은 메마른 박토와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안과의들 사이에서도 논쟁이 많았다. 전자는 '굴절설'이라 하여 가까운것을 보고 있으면
모양
체가 굳어져 렌즈의 두께가 엷어지지 않게 되어버린다는 것. 후자는 '안축설'(眼軸說)이라하여 주로 유전이 관여된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그러나 정확하게 말하면 지금도 근시의 원인은 분명치 않다. ... ...
타자기에서 컴퓨터로 워드프로세싱은 PC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소개하게 된다. 이것은 마치 더욱 발전된 메모리 타자기에 화면을 붙인 것과 비슷한
모양
을 하고 있었으며, 모든 면에서 워드프로세싱에 보다 이상적인 형태로서 등장하였다. 이 편리한 기계의 가격은 매우 비쌌다.한편 CP/M은 갖가지의 사무용 프로그램이 이를 통하여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발자국으로 미루어 보아 시속 40㎞로 움직였을 것으로 추측된다.가장 빠른 세균은 막대
모양
으로 생긴 보델로비브리오 박테리오보라스. 이 세균에 부착된 극성 편모가 1초당 1백번 회전하면 자신의 몸길이(0.001㎜)의 50배나 되는 거리를 1초에 움직일 수 있다. 만약 사람이 자기 키의 50배 되는 거리를 ... ...
이전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