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 있다.기존의 형광현미경은 형광의 세기만 구분했다. 그래서 단순히 형광물질이
밀도
가 높게 염색됐을 뿐인데도 형광 세기가 높으면 이온 농도가 높거나 산성도가 높다고 분석되는 경우가 있었다.연구단은 형광수명에 주목했다. 형광수명이란 들뜬 상태의 전자가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섞이는 지역이다. 하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 빙하가 녹아 표층해수의
밀도
가 낮아지고, 결국 해류의 순환이 약해진다. 해류의 순환이 약해지면 적도의 열을 고위도로 운반하지 못해 북반구는 기온이 내려가고, 남반구는 더워질 수 있다.그러나 현재 해류를 멈출 정도의 강한 변화는 발견되지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산을 뜻해요. 마그마는 주변의 암석보다
밀도
가 낮기 때문에 위로 올라와요. 물보다
밀도
가 낮은 기름이 위로 뜨는 것과 같죠. 마그마가 지층을 뚫고 올라오는 과정에서 화산성 지진이 자주 발생해요.마그마가 정상 근처까지 올라오면 화산의 한쪽 비탈이 불룩해져요. 인공위성으로 보면 어느 부분이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그런데 북극이 더워져 빙하가 녹기 시작하자 북대서양의 염분이 줄어 예전만큼
밀도
가 높아지지 않았다. 가라앉아야 하는 한쪽 귀퉁이가 무너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적도에서 오는 흐름도 약해질 터. 이 흐름이 멈춘다면 유럽과 북미는 최소한 3~3.5℃ 기온이 급강하해 빙하기를 맞게 될 수도 있다.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날씨에 따른 눈의 성질이 경기력을 좌우한다. 일반적으로 하늘에서 방금 막 내린 눈이나
밀도
가 낮은 인공설은 스키 플레이트(부츠에 부착하는 기다란 판)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반면 눈이 내린 지 꽤 지난 눈이나 -2℃ 안팎의 눈처럼 잘 뭉쳐지는 눈은 플레이트와 마찰력이 적다.체육과학연구원 ... ...
네안데르탈인, 미적 감수성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상징적인 유물들이 거의 나오지 않은 건 그들이 상징 능력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인구
밀도
가 낮아 상징적 의사교환의 필요성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다.“유기전자재료는 분자 단위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메모리
밀도
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또 유기 용매에 녹여 플렉서블한 기판에 붙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벽지에 인쇄를 해서 조명처럼 빛을 내거나 우산처럼 접는 태양 전지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맨 바깥을 도는 칼리스토 역시 덩치가 커 크기가 태양계에서 세 번째다. 둘은 크기와
밀도
가 비 슷하지만 그 내부 구조는 매우 다르다. 가니메데는 암석으로 이뤄진 핵과 얼음으로 이뤄진 외부가 명확히 구별돼 있지만, 칼리스토는 그렇지 않다.가니메데는 목성 가까이에서 물질이 재빨리 뭉쳐서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호랑나비’는 언뜻 보기에 쉽게 찍을 수 있는 사진 같지만, 나비의 눈부터 날개 끝까지
밀도
있게 표현했고 쉽게 잡아내기 힘든 구도로 일체의 연출 없이 나비의 아름다움을 담았기에 큰 점수를 줬다. 대상을 받은 류종성 씨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낸다. - 심사위원장 생태사진가 서정화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밀도
의 해류는 깊은 바다로 가라앉아 천천히 이동하고, 그보다 따뜻하고 염분이 낮은 저
밀도
의 해류는 표면을 흐르지요. 이를 두고 각각 심층해류와 표층해류라고 불러요. 해류는 적도에서 극지방으로 열을 운반해요. 그래서 지구 전체가 열 평형을 이루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