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인간은 만들지 못했다.100년이 흐른 지금, 기술의 발달은 다시금 본래의 욕망을 향한다. 생명공학, 로봇공학, 인공지능, IT 등이 융합하면서 기계의 인간화가 아닌, ‘인간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신체는 기술적 산물을 삽입할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마라톤 대회 폭탄테러로 다리를 잃은 미국의 무용가 에이드리언 해슬렛-데이비스를 1년만에 무대로 복귀시키는 데 성공했다(2014년 3월 TED 강연). ‘바이옴(BiOM)’이라는 이 최첨단 전자 의족은 지금까지 1000여 명의 절단장애인에게 적용됐다. 에이드리언에게 적용된 무용가 전용 의족의 가격은 25만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낯설지 않다. 근대 과학 혁명의 여명기에 살았던 프랑스의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1596~1650년)는 세계를 구성하는 독립적인 실체에 두 종류가 있다고 했다. 하나는 공간적인 위치나 크기를 갖는 물질이고, 다른 하나는 사유를 본질적인 속성으로 하는 정신 혹은 마음이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인간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고통스럽기 짝이 없는 며칠을 보냈다. 추억충이 가져다 준 은성에 대한 감정은 최근 몇 년 동안 있었던 일 중 가장 신기하고 재미있고 좋은 일이었다. 그런데 그게 알고 봤더니 어린애나 두들겨 패는 폭력적인 알코올 중독자 스토커의 망상에 불과했던 것이다. 어떻게 지금까지 그걸 아름다운 ... ...
- [기자단 소식] 일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때는 방문객이 별로 없어서 문을 닫을 위기에까지 처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2010년에 새롭게 재개장을 하면서 일본 전체에서 가장 유명한 동물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무엇이 아사히야마 동물원을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동물원으로 만들었을까요? 제가 보기에는 규모도 작고, 낡고 오래된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없다면 SNS로 친구들에게 알려보는 건 어떨까. 군집분석 데이터로 코칭하는 스키2018년 2월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알파인 스키★ 종목을 준비하는 선수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받고 있다.우리나라는 스키 코치가 부족해 선수 개개인의 특징에 맞춰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하나님을 뜻하는 ‘야훼’가 모두 자신을 불렀던 이름이라고 말한다.그런데 수천 년 만에 부활한 아포칼립스는 돌연변이가 차별을 받으며 사는 세상에 분노한다. 그리고 강력한 돌연변이를 모아 인간 세계를 멸망시키려고 한다. 이에 프로페서X는 아포칼립스를 막기 위해 젊은 돌연변이들을 모아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거리는 태양에서 해왕성까지 거리의 약 20배다. 그래서 태양을 공전하려면 1만~2만 년 걸린다. ➌ 행성의 정체 밝히는 해밀토니안 역학연구팀은 주변 천체의 궤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아 플래닛 나인이 지구에 비해 크기는 3~4배, 질량은 10배쯤 될 거라고 추측했다. 사실이라면 태양계에서 목성과 토성, ... ...
-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든 ‘테니스 포 투’입니다. 연구소 방문객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만들어졌지요. 1972년에는 ‘테니스 포 투’에서 영감을 얻은 1세대 비디오 게임 ‘퐁’이 출시됐습니다. 탁구를 본떠 만든 이 게임은 그야말로 대성공을 거뒀지요. 손님들이 동전을 너무 많이 넣어 게임기가 고장이 날 ...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훨씬 더 멋진 분이세요!”“그래서 나의 업적을 기리고자 모교 케임브리지대에서는 학년이 끝날 때마다 나의 이론과 관련된 문제로 시험을 봐. ‘수학 트라이포스’라고 부르는데, 삼발이 모양의 의자 위에서 풀던 것에서 유래했어. 저기 저 의자인데, 네가 저기 앉아서 트라이포스 문제를 풀어내면 ... ...
이전7787797807817827837847857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