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다. 예컨대, 인공 망막은 개발이 완료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기까지 10여 년이 더 걸렸다. 시신경에 전기 신호를 보내주는 마이크로 칩을 망막에 결합하는 문제 때문이다. 지름이 약 2.4cm에 불과한 작은 안구에 접근해 조직 두께가 0.5mm도 안 되는 무른 망막 위에 칩을 고정하는 수술은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든 밥을 먹은 것도 이상합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워낙 부식성이 강한 물질이다보니, 3년이 되기 전 몸에 이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유성호 서울대 의대법의학교실 교수는 “(지속적으로 락스를 마셔) 위나 식도에 심한 부식이 일어나 천공이 발생할 경우, 변의 색깔이 짜장면 색으로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증명되고 있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남이 간질일 때와 스스로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해봤습니다. 여기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cerebellum)였습니다. 소뇌는 어떤 감각의 결과를 예측하는 역할을 하는데,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적절한 시기였다”고 너스레를 떨었다.현장에서 쌓은 실무 감각 살린 연구임용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이미 눈에 띄는 성과가 많다. 지난해에 ‘오 스탬퍼’라는 이름의 메모 부착 도구 디자인으로 ‘201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콘셉트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한 데 이어, 올해 2월에는 헤드업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소식을 전했을 때, 기자는 그런 생각을 했다. 아마 기자의 아버지도, 할아버지도 수십 년 전에 그렇게 다짐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분들이 그랬던 것처럼, 기자도 아이가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는다는 걸 수없이 느꼈다. 결혼하고 가장 크게 싸웠던 것이 임신 중기의 어느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시력은 뇌가 결정한다미국 하버드 의과대학의 데이비드 허블과 토르스튼 위젤 교수는 1960년대 시각 정보가 뇌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연구했어요. 두 사람은 한쪽 눈을 실명시킨 동물을 이용해 시력이 뇌의 문제라는 사실을 증명했지요.먼저 이들은 갓 태어난 고양이의 한쪽 눈꺼풀을 꿰매 앞을 볼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들으러 갈 리가 없지 않은가!“제가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된 건 너무나도 당연했어요. 1990년대 중반 우연한 기회에 이언 스튜어트의 이라는 책을 읽었어요. 그런데 거기에 제 작품하고 구조적으로 똑같은 나선 그림이 있는 거예요. 전 한 번도 수학을 고려한 적이 없었고 수학을 잘 ...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천 년 전 지금의 이라크 지역. 두 개의 큰 강 사이에 비옥한 토지에서 살던 사람들이 있었다. 비옥한 토지 덕분에 일찍이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했을까? 여러 가지가 필요하겠지만, 아무래도 길을 찾는 데 쓸 지도가 있어야 한다. 수천 년 전 바빌로니아에서는 어떤 지도를 이용했을까?미지의 세계까지 담긴 지도 실제로 바빌로니아인은 점토판에 쐐기문자로 설명을 달아 놓은 지도를 만들었다. 지도에는 고대 바빌로니아 이전 시대인 아카드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리고 중국에도 삼각법에 대한 단편적 지식은 있었지만, 삼각법의 창시자는 기원전 150년경에 살았던 히파르코스다. 히파르코스는 원의 현을 설명한 12권의 책에서 각과 현 사이의 관계를 찾아 오늘날의 구면 삼각법 공식을 발견했다. 히파르코스는 이를 이용해 별이 뜨는 시간을 구하는 등 천체의 ... ...
이전781782783784785786787788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