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볼게요.매장의 크기는 매장이 얼마나 눈에 잘 띄는지를 나타내요. 아무래도 가게가 크면 사람들 눈에 잘 보이겠죠? 그런데 예상 고객수는 주변 인구에 비례하고, 잠재 고객의 거리에는 반비례해요. 따라서 매장의 크기를 거리로 나누고, 주변 인구수를 곱해 구할 수 있어요.예상 고객수를 이용하면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곳인가요?“고등과학원은 단순히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 아닙니다. 깨닫길 원하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지요. ‘아하, 그렇구나! 이 이론들을 서로 연결하면 이렇게 되는구나!’ 우수한 연구자들이 모여 자신의 연구도 하고 학문적 교류를 통해 깨달을 수 있는 고등과학원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일반인들의 인식이 괴담을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에 사는 사람은 세계 평균(연간 2.4밀리시버트)보다 높은 방사선(연간 3밀리시버트)을 지속적으로 쪼이며 아무 일 없이 살아가고 있다.올림픽 유치 위해 SF소설 쓰는 일본그러나 모든 문제가 괴담은 아니다. 2020년 올림픽 유치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쉬운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이건 정말 단순해요. 오래된 과학이에요. 어쩌면 사람들이 여러 세기 동안 해왔던 것일지도 모르죠.”(베이어)“하지만 플라스틱보다 싸고, 더 성능이 좋으며 우리의 최근 문화 트렌드(친환경)와 잘 맞아요.”(매킨타이어)이들이 ‘버섯® 재료(Mushroom® Materials, 자신들의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다. 재배되고 있는 고구마는 6배체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유전체 길이가 약 2.6GB로 사람과 비슷한 정도로 매우 커서 유전체 해독이 만만하지 않다. 2012년 9월 제주도에서 열린 제5차 한중일 고구마 워크숍에서 한·중·일 고구마연구협의회를 결성해 유전체를 해독하기로 했다 ... ...
- ‘뱃속의 거지’ 알고 보니 장내 미생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결과를 ‘네이처’ 8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사람은 체지방 함량과 인슐린 저항성, 지질이상증 등이 더 높고 체중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미국 워싱턴대 의대 제프리 고든 교수팀은 한 명은 마르고 한 명은 비만인 쌍둥이 여성의 장내미생물을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난독증이 있는 사람 중에는 시각적 사고능력이 뛰어나고, 독창적인 통찰력을 가진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글자를 읽기 힘든 만큼 다른 방식으로 기억하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난독증을 방치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난독증은 어린 학생에게 큰 고통이며, 학업에 대한 ... ...
- INTRO 도시의 미래를 세우다, 거대 중장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또 어떤 중장비가 등장해 새로운 도시를 만들까.도시의 미래를 세우는 중장비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도시의 미래를 세우다, 거대 중장비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PART 2 중장비 끝판왕 TOP 5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H3 구역 저장탱크 3기와 배관 1곳에서 시간당 70∼1800m㏜ 방사선량이 검출됐다. 1800mSv는 사람이 4시간 정도 서 있으면 죽을 수도 있는 매우 높은 방사선량이다. 9월 2일 들어서는 H6 구역 저장탱크에서 100mSv 방사선량이 검출됐다.엄청나게 높은 방사선량이 여기저기에서 검출되고 있지만 오염수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런 심리는 페이스북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이나 적게 사용하는 사람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트웬지 교수는 “한발 물러서서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깨달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소셜 미디어의 자아도취자들이 높이는 기준에 휘둘리지 않도록 자기만의 관점을 유지해야 ... ...
이전7787797807817827837847857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