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초콜릿을 집어 먹는 동작을 선보였는데, 로봇팔의 움직임이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보는 사람마다 경탄했다.영화 ‘퍼시픽림’에서는 두뇌 외부에서 신호를 읽어 거대로봇을 조종하는 장면이 나온다. 뇌의 신호를 읽는 뇌스캔기술은 정밀하게 묘사되지 않았고, 현재 뇌의 기능을 관찰하는 가장 ... ...
- 불행해? 페이스북부터 끊어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행복감과 페이스북 사용량 사이의 관계를 구했다.연구 결과 페이스북 이용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행복감(정서적 안녕)이 나빠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삶에 대한 만족감 역시 사용량이 많을수록 낮아졌다. 혹시 기분이 나빠서 페이스북을 더 쓰는 건 아닌지 알아봤지만, 그런 효과는 없었다. 외로움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군인들이 지키고 있는 문을 통과하지 않고서는 다음 칸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만약 사람들이 열차에서 밖으로 나간다면 직렬 구조로 된 열차에서처럼 쉽게 통제할 수 없다. 1차원이 2차원, 3차원 공간으로 바뀌기 때문이다.마침내 열차의 문을 연 요나와 티미는 설산 위에선 백곰을 만난다. 살아있는 ... ...
- 폭력 게임 좋아하면 범죄자 된다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게임을 즐기는 데 민감한 학부모들이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흉악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평소에 폭력적인 게임을 즐겼다고 해서 범죄의 원인이 게임이라는 사실이 입증되는 건 아니다. 게임은 그 범죄자가 평소에 하는 수많은 일 중 하나에 불과하다. 범죄자들은 평소에 밥도 먹고, 숨도 쉬고, 걸어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실질적으로 확증해 줬다.위대한 3부작, 그 후그렇다면 보어의 ‘위대한 3부작’을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1913년 9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헤베시가 아인슈타인에게 보어의 3부작에 대해 묻자, 아인슈타인은 “엄청난 성과이며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라고 ... ...
- “과학문화는 SF작가에게는 인프라”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회전하면 바깥쪽으로 인공 중력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설명해줘도 이해를 잘 못하는 사람이 많아요.마지막으로, 꼭 받고 싶었는데 제가 하지 않은 질문이 있나요?어떻게 그렇게 잘 쓰세요? 이런 질문을 받아보고 싶어요(하하하)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고래가 시력이 좋다는 사실을 뒷받침 한다.동물원 고래가 공연을 할 수 있는 이유고래는 사람처럼 수정체 두께를 바꾸는 대신 눈 안의 압력을 조절해 수정체의 위치를 바꾼다. 공기의 굴절률은 물보다 작아서 고래가 물 밖으로 나오면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근시가 되는데, 수정체와 망막 사이 ... ...
- 좌로 돌리고 우로 돌리고 그러면 시력이 좋아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책 외에도 비슷한 내용을 다룬 책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눈 운동에 쓰는 기구를 파는 사람도 있습니다.그러나 나쁜 시력을 눈 훈련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이론은 현재 의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2004년 미국 안과 협회(AAO)가 관련 연구를 종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눈 훈련이 근시나 ... ...
- [수학뉴스] 전신마비 환자의 목소리가 된 곱셈!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할 때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데, 바로 이 점을 활용한 것이다.연구팀은 먼저 건강한 사람 6명을 대상으로 실험했다. 컴퓨터 화면 앞에 앉히고 ‘예’나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예’라고 대답할 때만 화면 옆에 있는 두 자리 곱셈 문제를 암산하도록 했다. 만약 ...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인다.하지만 해럴드 크로토 교수가 강연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자, 학회에 참가한 사람들은 나노과학과 수학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게 되었다. 크로토 교수가 우연히 잡지에서 본 지오데식 돔에서 힌트를 얻어 풀러렌의 분자구조를 추측하게 됐다고 설명했기 때문이다.크로토 교수는 자신의 ... ...
이전781782783784785786787788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