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 이런 게 다 곡선?!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읽는 재미가 독특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토대로 어떤 사건의 확률을 추론할 때 유용한 원리가 바로 ‘베이즈의 원리’입니다.
1
70
1
년경에 영국에서 태어난 토머스 베이즈가 확률론에 대해 쓴 원고에서 처음 발견돼 그의 이름이 붙었지요. 이 원리는 지금까지도 스팸 필터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로 쓰이고 있습니다.멀고도 험한 스팸 ... ...
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거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Part
1
.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 ...
Part
1
.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막힐 확률이 더 높아진 거예요. 우측통행하는 사람이 90%일 때는 길이 막힐 확률이 무려
1
00%였어요. 신기하게도, 길을 아무렇게나 걷는 무법자가 적당히 있어야 길이 막히지 않았어요.대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사람이 붐비면 반대 방향으로 걸어가는 우측통행자끼리 부딪히는 일이 발생하기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위험해요. 20
1
5년 한국소비자원이 밝힌 어린이(만 7~
1
4세) 안전사고 2위가 자전거예요.
1
위는 스포츠 활동을 하다가 넘어지는 사고였어요. 문제는 매년 자전거 사고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에요.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1
2세 이상 청소년의 자전거 사고가 최근 6년 동안 3배나 늘어났어요. 20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보고 지레 겁먹은 적이 있다. 코딩을 배우려면 복잡한 컴퓨터 명령어부터 외워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인이 원하는 게 무엇 ... 귀찮은 업무를 맡길 수 있을 것이다. 박 대표의 말을 들으니 한 번도 생각지 못했던
1
인
1
로봇 시대가 머지않아 다가올 것만 같다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얼마나 될까요? 바닥돌에 새긴 지도의 축척은
1
:
1
25입니다. 실제
1
25m 길이를 지도에서는
1
m로 표시했다는 뜻입니다. 이 점을 이용하면 만세운동길까지 가보지 않고도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겠지요?이번 화에서는 대구 매스 투어의 탄생 배경과 미션 네 가지를 소개했습니다. 다음 화에 소개할 나머지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털이 없는 벌거숭이 두더지쥐는 수명이 32년으로 길고, 심지어 뜨거움 같은 통증도 잘 느끼지 못한다.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이 최근 그 이유를 밝혀 ...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
1
0월
11
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관측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별점은 행성 표면의 5분의
1
을 덮을 정도로 크다고 밝혔다. 별점은 전체적으로 태양의 흑점보다 크고 나타나는 수도 더 많았다.와젤린 교수는 “태양 내부 활동의 결과로 흑점이 긴다”며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내부가 태양과 비슷할 수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콘크리트 터널이 둘러싸고 있다. 단층 건물로는 우리나라에서 길이가 가장 길며, 부피도
1
만5000m3에 이른다. 가속기 건물의 바닥 높이 오차는 ± 5mm밖에 되지 않을 만큼 정교하다.가속기가 있는 부지는 넓이가
1
2만620m2로, 축구장보다 50배나 넓다. 이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포스텍은 ... ...
이전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