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합니다. 먼저 n값이 작은 경우에 대해 증명하고, n=k일 때 참이면 n=k+
1
일 때도 참이라는 것을 보이는 것이지요. 아쉽게도 이 문제를 수학적 귀납법으로 풀 수 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어쩌면 여러분이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기발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그러니 이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지금 이 상황을 나타내고 있는 공준도 있어요.”“무엇인가요?”유클리드는 단에게 제
1
권의 다섯 번째 공준이라고 말했다. 내용은 ‘평행선은 같은 평면 위에 있고, 어느 방향으로 무한히 연장해도 절대로 만나지 않는 두 직선이다’였다.“그럼 유클리드 아저씨가 이곳을 빠져나갈 수 있는 방법은 ... ...
[Editor’s Note] 화성 몽상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보시라 권하고 싶다. 감탄사가 여러 번 나올 것이다. 그래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11
월
1
2일 열릴 ‘노벨상 카페’(38쪽)에서 필자들을 직접 만나보시라.이영혜 기자는 두 주 동안 유럽을 누비며 드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최전선을 취재했다. 이번 호와 다음 호 두 호에 걸쳐서 놀랍고 생생한 세계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
1
00만 분의
1
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memory)’와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털이 없는 벌거숭이 두더지쥐는 수명이 32년으로 길고, 심지어 뜨거움 같은 통증도 잘 느끼지 못한다.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이 최근 그 이유를 밝혀 ...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
1
0월
11
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관측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별점은 행성 표면의 5분의
1
을 덮을 정도로 크다고 밝혔다. 별점은 전체적으로 태양의 흑점보다 크고 나타나는 수도 더 많았다.와젤린 교수는 “태양 내부 활동의 결과로 흑점이 긴다”며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내부가 태양과 비슷할 수 ... ...
Part
1
.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격차를 홀데인 간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홀데인이 연구 인생 초반기에 주목한 문제는
1
차원 양자 자석이었다. 진주알 대신 자성을 띤 원자를 꿰어 만든 목걸이를 연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런 목걸이의 상태를 양자역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홀데인의 목적이었다. 그는 ‘스커미온’이라고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많았지만, 특이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지구에는 없을 법한 디자인을 선보인 팀도 있다.
1
위를 차지한 작품은 ‘얼음 집’으로, 빛을 많이 받을 수 있고 화성에 존재하는 얼음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점수를 받았다(위 사진). 거주지점은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북극을 선택했다. 우승팀은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수 있단다. 염기서열 20개가 무슨 일을 하기에 이처럼 놀라운 위력을 발휘하는 걸까.
1
993년. 당시 하버드대 소속(현재는 매사추세츠 의대) 빅터 암브로스 박사는 학술지 ‘셀’에 논문 한 편을 낸다(DOI:
1
0.
1
0
1
6/0092-8674(93)90529-Y).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의 성장 속도를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마치 실제 상황인 것처럼 관객들을 중생대 쥐라기로 안내했다.쥬라기 공원 제작진이
1
억 년 전 서식한 공룡들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던 것은 ‘화석’이란 실체가 있기 때문이다. 화석을 뼈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화석은 옛 지질시대에 존재했던 생명체 또는 그 흔적이 광물로 ... ...
이전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