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IBM연구소 윤도영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두뇌이다. "고분자물질이란 단일분자구조물을 인공처리, 수만~수백만개의 분자를 고리
모양
으로 연결시킨 거대분자구조물"이라고 정의한 윤박사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플라스틱이나 나일론도 고분자의 일종"이라고 설명한다. 사실 우리의 주변은 고분자물질로 둘러싸여 있다고 해도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푸른 바다와 흰구름,그리고 산호초와 뜨거운 모래 그 아름다운 산호초는 어떻게 생기는가. 산호초. ―그것은 얼마나 로맨틱한 이름인가. 강렬한 태양아래 바람에 ... 높아졌을 때 그 섬의 가상사리에 산호가 착생하여 발달했다. 섬 크기에 따라 여러가지
모양
의 산호초가 되었다는 것이다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부엽토를 많이 넣어주어야 한다. 토양조건이 자생지보다 불리하게 되면 꽃의 크기나
모양
은 별 차이가 없으나 줄기가 짧은 것이 다르다. 난초류는 각각 자생지의 환경이 다르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보춘화는 낙엽이 쌓인 음지에서 뿌리를 얇게 뻗고 자라기 때문에 화단에 심을 때는 물이 잘 ... ...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호르몬, 바이러스. 화학물을 측정하는 방사면역측정법(RIA)이 있으며 제약회사에서 키트
모양
으로 만들어 파는 것도 많다. 방사면역측정법의 발전과 함께 얄로우부부의 가족도 늘어 났다. 그녀는 아이들을 원호병원의 시험관과 실험동물양육장사이를 오가면서 키웠다. 1952년에는 임신 5개월이 되는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모인 별들의 대집단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가운데가 두툼하고 가장자리는 얇은 원반
모양
으로 태양은 중심부에서 3만광년(빛의 속도로 3만년 걸리는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여름밤에 보는 은하수는 바로 이 은하계 원반의 한 단면이다.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암허셀'은 처음으로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상이 없으면 물을 어느정도 깨끗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필터가 가장 중요하다. 필터의
모양
과 크기가 메이커마다 다르기 때문에 아프터서비스를 계속 받을수있는 제품이어야하고 정수능력이 크고 내부에 부식하기쉬운 금속용기가 없어야하며 필터교환의 쉽고 교환시기를 알아볼수있게 뚜껑이 ... ...
남자와 여자는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지방침착이 어째서 생기는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성전환을 하면 지방이 생기는
모양
이 달라지므로 호르몬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여자의 얼굴에 보조개가 생기는 것도 지방과 관계가 있다. 이렇게 보면 여자가 '여성적'이기 위해서는 지방이 불가결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
한국화약 그룹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불필요한 세탁비는 아낄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에틴렌의 중합에 의해 생기는 사슬
모양
의 고분자물질. 제조공정이 원유의 나프타로 부터 출발하는 석유화학제품으로 각종용기, 포장용 필름, 섬유, 파이프 등에 사용된다. 연구소내에서 최다인원이 배치된 폴리에틸렌 연구실은 신제품개발 뿐 아니라 ... ...
수수께끼에 싸인 사자신 스핑크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기원전 2650년경)이래 파라오의 화신이었던 호르스 신(神)을 가리킨다. 스핑크스는 사자
모양
을 한 태양신이며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으므로 쿠프왕이 스스로의 피라밋에 '아케토 쿠프'란 이름을 붙여도 부자연스런 것은 아니다. 셀림 핫산 이래 대스핑크스에 손을 대지 않고 있다. ... ...
PART 1 물의 신비한 특성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현상이다. 잠열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온도상으로는 아무 변화를 보이지 않고 물질의
모양
(形)을 바꾸기 때문다다. 예를 들면 고체가 녹을 때는 물질에 따라 차는 있으나 일정량의 열을 흡수한다. 그런데 얼음이 완전히 녹을때까지 온도는 절대 오르는 일이 없다. 이 과정이 거꾸로 되면 반대의 ... ...
이전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