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조색인가 색소색인가 나비의 정체를 밝힐 열쇠는 비늘의 빛깔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따라서 산굴뚝나비를 채집하여 날개의 비늘을 현미경으로 촬영, 두루봉나비비늘과 빛깔
모양
등을 대조해본다면 동일종인지의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다.국립과학관의 이승모 곤충표본실장도 두루봉유적에서 출토된 나비비늘을 확인하면서 어느 종류인지는 알기 힘들다고 말하고 있다. 이실장에 ... ...
약효 떨어뜨리거나 부작용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음식과 약과는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상호작용이 어떤
모양
으로 어떻게 하여 나타나는가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고 있지 않다.게다가 어떤 음식이 좋고 나쁜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려우며 그렇다고 정확한 자료가 많이 있는 것도 ... ...
환락의 극치에서 폐허로 폼페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 드러났다.폼페이는 동서 1천2백m, 남북6백50m다. 당시의 주택사정은 물론 일상생활의
모양
을 알수있는 가구집기가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폼페이에서는 경석의 온도가 낮아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 다행이어서 유력자의 주택이 시내 곳곳에서 발굴 복원되고 있다.한편으로는 교외에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는 정말 하늘에 있는 강일까?·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 은하는 크기가 어느 정도이며 그
모양
은 어떠할까? 그리고 별들은 몇 개나 될까?·우주에는 우리 은하와 같은 은하들이 얼마나 있을까?·우주의 크기는 어느 정도이고 과연 끝이 있을까? 그리고 우주의 나이는 얼마나 되었을까?·우주의 미래는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먼지구름이 응축되기 시작했다. 수십억㎞에 걸쳐있던 구름은 회전하면서 납작한 원반
모양
의 태양성운이 되었다. 원반속에서 입자들은 충돌하고 달라붙어서 원시태양과 행성들이 만들어졌다. 태양이 빛나기 시작하면서 대부분의 가스들은 태양계에서 불려나가고 뜨거운 암석으로 된 것만 남았다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마이크로초의 저주파 펄스자장을 토끼의 췌장랑게르한스섬(islet of Langerhans · 췌장속에 섬
모양
으로 보이는 인슐린을 내는 원형의 분비선조직)에 쪼인 실험을 소개해 두자. 랑게르한스섬은 췌장에 산재한 내분비선 세포의 집단으로 혈당치를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이 여기서 합성되어 글루코스의 ... ...
PC교실⑨ 응용프로그램에서의 문자열처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길이는 두 개의 길이를 합한 것과 같다. ASCII 코드사람은 문자의 뜻을 이해할 때에 그
모양
을 보고 바로 알 수가 있다. 물론 이것은 사람의 지능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지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자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컴퓨터에게 'A는 65이고 Z는 90이다 ... ...
쉽고 재미있게 과학공부를 잘하려면…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결과를 멋있게 설명할 수 있음을 아는 기쁨은 비길 데가 없다. 달을 정해진 시간에 그
모양
과 위치를 한 달 동안 관측하고 그렇게 변하는 현상이 달의 운동으로 설명됨을 알았을 때 놀라움은 대단한 것이다.고입 선발고사(서울)의 문제에서 예를 들어보자. 달을 관심있게 관측한 경험이 있는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머리속에 떠올리겠지만 중국에서는 성벽을 일컫는다. 이 나라는 도시를 일찍부터 네모난
모양
의 성벽으로 둘러 싸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장성은 중국 전체를 감싼 긴 성벽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이 장성을 최초로 건설한것은 기원전 5세기경, 춘추(春秋) 시대말의 제(齊)나라 때다. 전국시대에는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이때 혈액형이 같다는 이유만으로 범인으로 단정지을 수는 없다. 혈액은 이외에도 그
모양
으로 범행당시의 상황을 추정할 수 있다. 혈흔이 원형이고 주위에 돌기가 있으면 이 피는 피해자나 가해자의 몸에서 60cm이상의 높이에서 직각으로 떨어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혈액내 염색체로 성별 ... ...
이전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