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6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30
① 제 9의 예술 ② B급 문화 ③ 골드버그 장치의 유래 ④ 슈퍼맨의 고향 위 4가지 보기에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만화’에 대한 설명이라는 점이다. 프랑스 평론 ... 정체성을 꿋꿋이 지켜내 왔다. 앞으로 다가올 10년도 어린이들의 즐거운 과학 친구의
역할
을 잘 해내길 기대해 본다. ... ...
인공위성으로 재난 해결… 위성정보 활용계획 나왔다
2014.09.30
발생 예측 때 콘트롤타워
역할
을 하는 ‘우주위험 대책본부’(미래부 차관급)와 실무
역할
을 맡는 ‘우주위험대책반’(미래부 국장급)이 신설할 계획다. 이들 조직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 등 관계기관 담당자와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해 우주위험 발생 때 실시간 상황분석과 대응책 ... ...
연구실 사고 막는 ‘표준매뉴얼’ 보급한다
2014.09.30
규정하고 있다. 또 연기관별로 연구종사자, 연구실 책임자, 안전관리 담당부서의
역할
등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으로써 신속한 사고대응·복구, 사고원인 파악 등 일련의 대응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는 또 기관별 특성을 고려해 대학, 연구소 등 각 기관에서는 ... ...
우울할 땐 운동이 약… 골격근 단백질이 우울증 막는다
2014.09.30
‘카이뉴레닌(Kynurenine)’이라는 물질을 ‘카이뉴레인 산(Kynurenine acid)’으로 바꾸는
역할
을 한다. 카이뉴레인은 우울증 환자에서 높게 나타나 우울증과 관련 있는 것을 알려진 물질이다. 린드스코그 연구원은 “운동을 하면 KAT 효소가 카이뉴레인을 다른 물질로 빨리 변환시키기 때문에 우울감이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입히는 방식으로 둘을 일체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분리막의 양쪽 면에 각각 양극과 음극
역할
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입힌 것이다. 기존 리튬이온전지는 전극에 해당하는 양극과 음극 그리고 분리막이 각각 분리돼 있고, 전극을 만들 때 알루미늄과 구리와 같은 금속 물질이 필요했기 때문에 전지를 ... ...
발암 단백질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줄기세포 단백질
2014.09.28
시작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BRD4 단백질이 줄기세포의 만능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하는 것은 물론 신경세포로 유도되는 과정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이용해 신경세포를 만드는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 ...
수영 못하는 도마뱀, 인간들 배 타고 바다 건넜다
2014.09.28
설명하는 것이다. 문명의 영향을 받은 생태계에서는 인간의 활동이 생물다양성에 중요한
역할
을 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기존 생물지리학 이론에는 없었던 내용”이라며, “인간의 개입이 지리적인 요소만큼 생물지리학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아프리카 원주민이 탈을 쓰고 신나게 춤을 추고 있다. 흥겨운 북소리를 듣노라면 덩달아 엉덩이가 들썩거린다. 모기의 발바닥 끝을 전자현미 ... 새처럼 보이는 부위의 실제 크기는 머리카락 한 가닥과 비슷하다. 이 더듬이는 감각기관의
역할
을 하고 있어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
국민 아이디어 1년 모으니 황금알 낳는 아이디어 ‘1만 3000건’
2014.09.26
멘토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아이디어 사업화 부문에서 국민 플랫폼의
역할
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조경제타운 아이디어 주요 성공사례 창조경제지원사업단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몸속에서 모두 형광 나노입자가 발견됐다. 원생동물 체내에서는 일종의 소화기관
역할
을 하는 소기관에서 발견됐으며, 물벼룩의 장에서도 나노입자가 발견됐다. 제브라피시는 장과 내장은 물론 배설물에서도 나노입자가 나왔다. 배설물을 통해 일부 배출됐다는 의미는 제브라피시가 먹었던 ... ...
이전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