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발전소에 어린이 기자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8.28
방사성 물질이 원자로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원자로를 지키는
역할
을 한다. 월성원자력발전소 홍보관에서는 명예기자들이 직접 원자력발전에 대해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었다. 강우인 명예기자(서울 잠원초 5)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정확히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이뤄지면서 후성유전학의 각인이 지워지고 수정란이 분화하면서 다시 세포마다 그
역할
에 맡는 후성유전학 패턴이 형성된다는 게 기존의 이론이다. 따라서 어떤 요인으로 패턴이 바뀌더라도 그 영향력은 그 개체에서 끝나야 한다. ‘세대를 이어가는 후성유전학적 유전’이란 이런 각인이 다음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원천기술 개발과 태양전지 상용화에 큰
역할
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 과학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바이러스 감염 공포, 벗어날 방법은 이것 뿐!
2014.08.22
일차적으로 공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바이러스를 포착해 걸러내야 한다. 이때 핵심적인
역할
을 하는 장비가 최첨단 필터다. 수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바이러스만 걸러내는 초미세 구멍을 가진 필터를 만들려면 나노 단위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나노 기술이 필수다. 바이러스의 존재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연구팀이 사용한 유리 투명전극이 전류를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분산시켜주는
역할
을 한 덕분이다. 김 교수는 “최근 개발된 유리 투명전극을 실제 LED에 적용해 우수성을 입증한 최초 사례”라며 “LED뿐 아니라 태양전지 등 다양한 광전소자의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 ...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2014.08.19
19일 밝혔다. 구리수송체는 생체 보조인자인 구리 이온을 세포 속으로 들여오는 ‘통로’
역할
을 하는 단백질로, 구리수송체가 늘면 세포 속 구리 이온이 많아진다. 연구진은 사람의 유방암 조직에 구리수송체 유전자를 전달해 구리수송체가 많이 생기게 한 뒤 생쥐의 다리에 이식했다. 이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물에서 암모니아를 만드는 과정을 빠르게 해주는 철산화물촉매의 나노구조가 결정적인
역할
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20~40나노미터 크기의 나노촉매의 엄청난 표면적이 반응이 일어날 자리를 충분히 제공했던 것. 이 시스템에 하버-보슈법에 쓰는 보통 철산화물촉매(쇳가루)를 넣을 경우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필즈상 비결은 브라질의 열린 교육 제도”
2014.08.18
“21세에 어떻게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었냐고요? 고등학교 2학년 때 석사과정 수업을 들었죠.” 서울 세계수학자대회(ICM)가 열리고 있는 18일 오전 ... 말했다. 그는 또 “4년 뒤 브라질에서 세계수학자대회가 열리는데 이곳에서 좋은
역할
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수도권]“로봇도시 하면… 이젠 부천입니다”
동아일보
l
2014.08.18
수학, 물리, 화학 분야의 올림피아드와 함께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과학기술 양성에 큰
역할
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로봇올림피아드에는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 26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부천실내체육관 바로 옆 부천테크노파크에는 ‘로보파크’(www.robopark.org)가 운영 중이다. 서비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이 단백질 복합체는 세포 속에서 다른 단백질에 죽음의 꼬리표인 ‘유비퀴틴’을 붙이는
역할
을 한다. 꼬리표가 붙은 단백질은 세포 속 쓰레기통인 ‘프로테아좀’으로 가 분해되고 만다. 이 ‘저승사자 단백질 복합체’는 약 20년 전 애기장대에서 처음 발견됐고, 이후 많은 식물을 비롯해 ... ...
이전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