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친척"(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24
- 관계이지요. 언뜻 멧돼지와 개미핥기를 합쳐 놓은 것처럼 생긴 ‘테이퍼’라는 동물과도 친척이에요. 우리는 모두 ‘발이 특이하다’라는 뜻의 기제류에 속하는 동물이랍니다. 기제류는 생김새는 서로 다르지만 발 모양이 닮았어요. 발굽이 있고, 뒷발의 발가락 개수가 홀수예요. 참고로 우리 말은 ...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어플 평균 점수 98점, 친척 장기자랑 단골손님, 옆집 누나가 인정한 동네 최고의 ‘미성’. 노래로 따라올 자 없다 자부하는 내게 시련이 찾아온 것은 지난해의 일이다. 최연소 우승자를 꿈꾸며 참가한 각종 노래 오디션에서 하나도 남김없이 몽땅~! 떨어져 버린 거다. 실의에 빠진 나날도 어언 1년,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속하는 곤충은 크게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가 있어요. 이 중 여치는 귀뚜라미와 가까운 친척사이인 만큼 비슷한 점이 많답니다. 소리를 낼 때 양쪽의 앞날개를 비비는 것도, 고막이 앞다리 종아리마디에 있다는 것까지도요. 이렇게 비슷한만큼 여치도 귀뚜라미 못지않은 가수랍니다. 이솝우화 ... ...
- [과학뉴스]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2
- 직접 찾기보다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분석하는 우회로를 택했다. 에볼라의 가까운 친척인 라사, 마르부르크 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원숭이들을 분석한 결과 특정 유전자가 발현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라사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SIGLEC1, 마르부르크의 경우 HSPA1B 등 바이러스별로 발현되는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12
- 소득은 우리의 10분의 1도 채 안 된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별로 없다. 섬 주민들은 대부분 친척이다. 먹을 게 떨어지면 이웃집에 가서 얻어먹으면 된다. 문중의 허락만 맡으면 아무 곳에나 집을 지을 수 있다. 아이들은 같이 키우고, 노인은 함께 부양한다. 기지에서 일하며 현지인과 결혼해 정착한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11
- INSIDE 참조).그럼에도 해양파충류들은 서로 비슷한 점이 많다. 어떤 종류는 너무 비슷해서 친척관계로 오인될 정도다. 현재 학계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동물은 거북이다. 거북이 과연 어떤 파충류 집단에서 나왔는지에 대해서 학자들은 수십 년째 골치 아픈 연구를 하고 있다. 한때는 거북과 ...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이 둘은 쌍둥이가 아니거든요. 그럼 자매냐고요? 자매도 물론 아니랍니다. 심지어 친척도 아니에요.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고,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완전 남남이지요. 그런데 어떻게 이렇게도 닮았을까요? 아니 어떻게 이렇게 닮은 사람들을 찾아 낸 걸까요?작가소개프랑수아 브뤼넬(Fran ois brunelle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10
- 앙증맞게 튀어나온 긴 코가 유별나다 싶었는데, 알고 보니 세상에서 가장 작은 ‘코끼리 친척’이란다. 더 놀라운 것은 이 ‘신종’ 쥐가 발견된 게 올해 6월 말이라는 사실이다. 세 달 전만 해도 우리는 이 쥐가 있는지조차 몰랐다.우리는 지구에 사는 생물을 다 아는 것 같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10
- 동물은, 사람으로 치면 흰자위에 해당하는 부분(공막)이 희지 않다.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와 고릴라도 공막이 짙은 색이다. 반면 사람은 희다. 이렇 게 흰자위가 생기면 장점이 있다. 눈동자의 움직임이 완연하게 드러나, 누군 가가 자신을 쳐다볼 경우 그 눈길을 금세 느낄 수 있다. 또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09
- 줄 먹이를 구하는 과정에서 영장류와 자주 접촉하기 때문이다. 에볼라의 가까운 친척인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도 정확히 과일박쥐의 출산 주기(반 년)에 맞춰 증감했다. 더구나 서 아프리카 사람들은 과일박쥐를 조리하지 않고 먹는 문화까지 있었다.PLUS | 야생에서 대도시까지 바이러스도 세계화! 200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