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뉴스
"
사실
"(으)로 총 14,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발사체 액체엔진 개발, GIST 대학생들이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이창현 씨가 액체 로켓 엔진 테스트베드 개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GIST 제공 "
사실
제가 우주에 가고 싶어서 연구하는 겁니다." 지난달 말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만난 이창현 씨(기계로봇공학과 23학번)의 솔직한 한마디에 회의실이 웃음으로 가득 찼다. 그는 다른 학부생들과 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인간관계를 망치는 '정치적 파벌주의'
2025.06.14
사람들이 다수 존재했다. 삶은 복잡하고 모두에게 좋은 정책이란 존재하기 어렵다는
사실
을 잊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나약함을 이해하고 나면 인간의 악함 또한 이해하기 어렵지는 않은 것 같다. 물론 이해하는 것과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여서 이해는 되더라도 ... ...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관측은 지형과 수온, 퇴적상등의 갯벌 변화를 추적하기 좋다. 겉에서 보기엔 평화롭지만
사실
갯벌은 시시각각 모습을 바꾸는 변화무쌍한 지형이다. 파도와 강에서 흘러오는 물의 흐름은 갯벌 사이로 난 물길인 갯골의 방향을 바꾼다. 갯골의 방향이 바뀌면 쌓이는 입자의 종류와 양도 달라진다. ... ...
바이러스서 새 단백질 4208개 발견…"백신 개발 단서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분자로 알려졌다가 이후 수십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미세 단백질’들이 있다는
사실
이 확인됐다. 과학자들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미세 단백질들이 특히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베이 교수 연구팀은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서 새로운 미세 단백질들을 발견했다. 인간 ... ...
AI 100조 투자·기후에너지부?…"이재명 정부에 '과학전문가' 안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1명으로 과학기술 밑그림을 제대로 그리기는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이와 함께
사실
상 인수위원회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을 포함한 정부 조직법 개편도 논의될 예정이다. 전세계적인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 ...
[동물do감] 다채로운 무당벌레 색깔, 색소·구조 합작품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CRBE) 연구원팀은 무당벌레의 딱지날개 색깔이 색소와 구조색의 복합적인 결과물이라는
사실
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에 공개했다. 구조색은 표면 구조로 나타나는 색채를 의미한다.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무당벌레는 보통 진딧물 등 해충을 잡아먹어 대표적인 ... ...
체내 지방세포 쌓이는 원인 찾았다…전기신호 경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연구를 이끈 이재광 연구원은 “TREK-1이 지방세포 대사 조절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
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며 “기능성 식품과 식이요법을 통한 대사질환 예방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포 사멸과 질환’에 지난달 8일 게재됐다. - doi.org/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100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분석 결과 염소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전자의 움직임을 좌우하는 밴드갭이 넓어진다는
사실
이 확인됐다. 밴드갭은 전자가 자유전자가 되기 위해 뛰어넘어야 하는 에너지 범위를 말한다. 밴드갭이 넓으면 전자가 이동하기 어려워 전도성이 낮아지는 등 소재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같은 ... ...
'1초에 100만번' 효소 반응, 영화 기술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물 분자가 자리를 바꾸고 새 물이 유입되면서 탄산이온이 빠르게 방출된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 물 분자가 교체되는 반응 중간 단계가 생성물 방출 속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는 설명이다. 논문 제1저자인 김진균 UNIST 물리학과 연구원은 "영하 113℃에서 영하 93℃ 구간에서만 나타나는 반응 중간 ... ...
양자역학 원리로 완전한 무작위성 구현…'진짜' 난수 생성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는 어록을 남겼지만 결국 현대 양자역학의 근본적인 원리는 무작위성에 기반한다는
사실
이 확인됐다. 크리스터 샬름 NIST 연구원은 "'진정한 무작위성(True randomness)'이란 우주에서 그 어떤 존재도 예측할 수 없는 것"이라며 "만약 신이 우주를 가지고 주사위 놀이를 한다면 이를 최고의 난수 생성기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