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밝혔다. 또한 ‘우주배경복사’(CMB, Cosmic Microwave Background)의 변이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
은 태초의 우주에 대한 좀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목받았다. 고인류학에서는 인류의 기원을 3백만년 전에서 6백만-7백만년 전으로 끌어올린 서아프리카의 ‘투마이’ 화석 발견이 선정됐다.한편 12월 19일 ... ...
미 최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17개월의 시간과 1억달러의 비용이 들었다.우주개발과정에서 실패의 원인으로는
기술
적 결함 외에도 기상과 같이 피치 못하는 것도 있다. 지금으로부터 17년 전 1986년 1월 28일 발사 73초만에 공중 폭발해 우주개발사상 최대의 사고로 기록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사고의 가장 큰 원인제공자는 1월의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한다. 체세포복제술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불완전한
기술
이란 의미다.외형적으로 완전히 정상으로 보이는 복제인간이라 할지라도 전혀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제된 개체는 텔로미어의 길이 때문에 생체나이에 문제가 있다는 논란이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복제인간이 탄생했다고 해서 인간복제 행위가 허용된다는 뜻이 아니다. 인간복제가
기술
적으로 가능하다고 증명된 후에는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옳지 않기 때문에 행하지 말아야 하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본격적으로 찾아야 한다.비자연적인 과정을 통해서 인간을 복제하는 ... ...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올릴 수 있는 규모)다.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르면 2005년까지 우주발사체와 과학
기술
위성 2호를 개발하고 전남 외나로도에 미국의 케네디센터 같은 우주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다. 계획대로만 된다면 우리의 위성을 우리가 개발한 발사체에 실어 우리 땅에서 발사한다는 꿈이 이뤄지는 것이다. ... ...
월드컵 하늘에 방패연 띄운 다윗 - 류춘수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래서 잔치판이 벌어진다.상암 월드컵 경기장은 이런 천막을 ‘막 건축’이라는 최신
기술
로 현대에 재현했다. 다만 소나무 장대 대신 철골 마스트(막대)를, 새끼줄 대신 케이블을, 광목천 대신 아크릴이나 테플론 같은 인조섬유를 쓴다. 막 건축은 1988년 서울올림픽, 1993년 대전엑스포 때 국내에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를 합하여 CBE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가정교사시스팀'으로 표현돼 한국과학
기술
원 시스템공학센터에서 3개년 계획으로 개발되고 있다컴팩트디스크(CD)의 테이프 판 디지틀 신호로 녹음한 테이프로 애널로그 방식에 비해 잡음이 없고 음폭이 넓으며 음질이 뛰어나다 올들어 일본에서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누가 아는가. 거대한 블랙홀이 중력붕괴를 통해 급격히 만들어지는 현상이나 앞서
기술
한 충돌 현상을 포착할지. 필자도 거대한 두 블랙홀의 충돌 현상이 생각보다 훨씬 더 가까운 은하에서 관측될 수도 있다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현재 일본, 독일, 이탈리아도 중력파 관측소를 건립해 LIGO와 함께 ... ...
이전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