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올해는 출전팀이 2백20여개로 늘어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제4회 대회에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의 윤창노 교수팀이 처음으로 참여했고, 이번에는 윤 교수팀과 고등과학원의 이주영 교수팀이 출전했다.이 교수팀이 CASP에서 높은 성과를 거둔데는 그가 미 코넬대 연구팀에 있을 당시인 제3회부터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한다. 체세포복제술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불완전한
기술
이란 의미다.외형적으로 완전히 정상으로 보이는 복제인간이라 할지라도 전혀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제된 개체는 텔로미어의 길이 때문에 생체나이에 문제가 있다는 논란이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복제인간이 탄생했다고 해서 인간복제 행위가 허용된다는 뜻이 아니다. 인간복제가
기술
적으로 가능하다고 증명된 후에는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옳지 않기 때문에 행하지 말아야 하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본격적으로 찾아야 한다.비자연적인 과정을 통해서 인간을 복제하는 ... ...
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올릴 수 있는 규모)다.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르면 2005년까지 우주발사체와 과학
기술
위성 2호를 개발하고 전남 외나로도에 미국의 케네디센터 같은 우주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다. 계획대로만 된다면 우리의 위성을 우리가 개발한 발사체에 실어 우리 땅에서 발사한다는 꿈이 이뤄지는 것이다.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처음 만난 사람과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서먹서먹할 때 흔히 하는 말이 있다. “어느 학교 나왔어요? 고향이 어디입니까? … 예, 그럼 누구 아시나요? … 저도 그 사람을 잘 알지요. 세상 참 좁네요.”내 친구의 친구가 나의 친구가 되는 경우를 확인하게 되면서 세상이 매우 좁다는 것을 느낀다.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보존 처리는 최소한도에 그쳐야 한다. 완벽한 보존처리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더 완벽한
기술
이 개발될 때까지 미뤄야 한다. 자칫 서툰 보존 보수는 오히려 문화재를 더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다 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후손에게 그 몫을 넘겨야 한다. 특히 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 ...
미 최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17개월의 시간과 1억달러의 비용이 들었다.우주개발과정에서 실패의 원인으로는
기술
적 결함 외에도 기상과 같이 피치 못하는 것도 있다. 지금으로부터 17년 전 1986년 1월 28일 발사 73초만에 공중 폭발해 우주개발사상 최대의 사고로 기록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사고의 가장 큰 원인제공자는 1월의 ... ...
이전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