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
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될 것이다. 또한 T-50 개발을 통해 확보된 디지털 설계
기술
, 디지털 목업
기술
과 시험
기술
등은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한편 한국항공 우주산업(주)은 2000년부터 전세계를 대상으로 T-50의 해외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T-50이 마의 음속을 멋지게 돌파해 전세계의 하늘을 누빌 수 있는 날도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문제는 여러개의 종이 울려서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종치기는 종치는
기술
을 갈고 닦아야만 했다.결국 종치기는 교회 탑에 걸린 것과 같은 모양의 종에 손잡이를 부착해 손으로 흔들어 소리를 낼 수 있는 핸드벨로 먼저 연습을 했다. 한소리 양이 손에 들고 있는 핸드벨이 바로 중세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매년 개최되는 세포주기 국제학술대회에 초청됐다. 2001년에는 대한민국 과학
기술
훈장을 받기도 했다.현재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에서는 한국인의 난치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반을 닦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인의 위암·간암 세포로부터 3만여종의 유전자를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도료에 혼합하여, 항공기나 미사일 동체에 칠함으로써 레이다파를 흡수하도록 한 최신
기술
의 하나몸길이 43∼58cm, 부리는 위로 뻗고 흰색머리아비보다 작고 색깔이 선명하다 대개 해안 앞바다에 살지만 간혹 내륙의 얼지 않은 물에도 내려앉는다 해안에서 단독 또는 무리지어 헤엄치며 잠수하여 ... ...
지구 위협하는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을 만나보자. 또한 블랙홀이 내뿜는 중력파를 포착하려는 첨단
기술
도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지구 위협하는 우주의 검은구멍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사건 지평선은 블랙홀과 바깥세계의 경계로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한계다. 이후 관측
기술
이 발달하면서 아인슈타인도 잘 몰랐던 블랙홀은 베일에 가렸던 정체를 조금씩 드러내고 있다. 최근 몇년 사이에 새롭게 밝혀진 블랙홀의 진면목을 들춰보자. 어떻게 총알처럼 움직일까블랙홀이 우리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강원대 수의학과 정의태 교수와 축산
기술
연구소 임기순 박사, 그리고 미주리대 박광욱 박사가 참여했다.현재는 인간면역 관련 유전자를 돼지세포에 집어넣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렇게 유도된 체세포로 돼지를 복제하면 인간에게 장기를 제공할 수 있는 ... ...
금융수학 카오스 경제에서 질서를 찾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정상적인 시장에서 거의 95%까지 옵션 판매에 따르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기술
상의 혁신에 따라 금융회사들은 다양한 종류와 액수의 옵션을 발행하기 시작했다.수학은 기본, 철학과 심리학도 섭렵블랙과 숄즈가 이용했던 물리학의 열전도 방정식은 복잡한 편미분 방정식을 다룰 수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보존 처리는 최소한도에 그쳐야 한다. 완벽한 보존처리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더 완벽한
기술
이 개발될 때까지 미뤄야 한다. 자칫 서툰 보존 보수는 오히려 문화재를 더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다 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후손에게 그 몫을 넘겨야 한다. 특히 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 ...
이전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8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