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와 시민과학, 아직 잘 모르겠다고요? ... ...
- [똥손 수학체험실] 나만의 팝잇으로 덧셈, 뺄셈, 합동 찾기까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친구와 함께 ‘배스킨라빈스31 게임’에도 도전해 보세요! 배킨스라빈스31 게임은 2명 이상의 사람이 돌아가면서 숫자 1부터 차례로 외치는 게임이에요. 한 번 외칠 때 숫자를 1개나 2개, 3개까지 외칠 수 있어요. 마지막 수인 31을 외치게 되는 사람이 져요. 숫자를 외치면서 팝잇을 꾹꾹 누르면 ... ...
-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인류는 다시 달에 가기로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캐나다 등 10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지난해 5월 27일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했고, 올해 8월 한국형 달 궤도선인 KPLO를 발사할 계획이다.아르테미스 1호 임무에서는 추후 임무에 사용될 오리온 우주선과 우주발사시스템(SLS) 로켓의 성능을 검증한다. 오리온 우주선은 6~19일간 달 공전궤도를 ... ...
- [과제] 이번 수업의 과제는 이야기 나누기 입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도움을 주는 회사입니다. 대한민국에서 토도드라이브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어린이가 2000명이 넘었습니다. 이 아이들과 비장애 아동이 함께 성장해 성인이 된 세상은 지금보다는 편견의 벽이 낮아지지 않았을까요?” ●인터뷰 김지우 씨를 비롯한 이달의 휠체어 팀원들에게 ‘휠꾸(휠체어 ... ...
-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중국의 CCTV에 소개될 정도로 큰 화제를 모았다. 전국 각지에서 충전소를 보기 위해 20만 명이 모여들었다.스마트 충전소의 성공으로 박 대표는 수력 발전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됐고, 휴대용 수력발전기 ‘우노’를 개발하게 됐다. 우노는 물이 흐르는 곳이면 어디서든 전력을 만든다. 발전 인프라가 ... ...
-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탄생한 향수가 샤넬, 랑방, 장 파투(빠뚜), 니나 리치 등이다. 여기에서 영향을 받은 유명 디자이너들이 연달아 향수를 출시하면서 근대 향수산업을 완성했다.샤넬의 고급스러움, 크리스찬 디올의 화려함, 지방시의 우아함, 이세이 미야케의 모던함. 각 패션 브랜드들을 생각하면 보편적으로 떠오르는 ... ...
- [시사과학➋] 팩트 체크 초등생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심근염 사례도 11건 있었어요. 보고 당시 심근염 환자 11명 중에는 7명이 회복 됐고 4명은 회복 중이었지요. 사망 사례도 두 건 보고됐어요. CDC는 “만성 질환 탓에 건강이 좋지 않았던 상태였다”며, “백신 접종 때문에 사망했는지에 대한 인과 관계는 찾지 못했다”고 덧붙였어요. 승인은 하되,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dongascience.com)의 ‘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3월 1일 어과수 홈페이지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 [이슈] 얼음 위에서 펼치는 치열한 속도 싸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하고 있어요.봅슬레이는 동계올림픽 스포츠 종목 중에서 속도가 가장 빠른 종목으로 유명한데, 경기 중 평균속도는 시속 130~140km를 거뜬히 넘겨요. 2009년 라트비아 국가대표팀의 최고 순간속도는 시속 152.68km였지요. 스켈레톤 & 루지스켈레톤과 루지는 우리가 흔히 아는 모습과 비슷한 썰매를 ...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➊] 눈에 안 보이는 것을 수식으로 푸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3호
- 3년 만에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는데, 두 추측이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6개월 만에 증명을 마쳤어요. 두 추측이 수학적으로 같다는 사실이 난제 해결의 실마리였던 거지요. 엄청난 발견은 예고 없이 다가오잖아요. 저 역시 밀턴 교수와 저녁 식사를 하며 대화하다가 툭 나온 말에서 단서를 얻어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