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
2016.06.15
입자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물론 국내 연구진도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실험
을 진행하고 있다. 암흑물질의 후보로는 윔프(WIMP), 액시온 등이 꼽힌다. 랜들 교수는 “윔프든, 액시온이든 현재 거론되는 여러 암흑물질의 후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접근해야 할 단계”라고 ... ...
[영상]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06.15
따라 웃음이 날지 화가 날지 다릅니다. 도대체 간지럼의 정체는 뭘까요? 지금부터
실험
을 하나 해보죠. 자신의 손으로 자신이 가장 간지럼 탈만한 부위를 간질여보세요. 겨드랑이 아래나 발바닥 등 어디든 좋습니다. 웃음이 나셨나요? 단순히 촉감이 있다는 느낌은 들었을 테지만 웃음은 나지 ... ...
국내 첫 피인용지수 5점대 학술지 나왔다
2016.06.14
생화학분자생물학회는 자체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EMM(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실험
분자의학)’이 2015년 피인용지수에서 5.164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피인용지수는 2년간 논문의 인용 수치를 집계해 산출된다. 피인용지수 5.0은 세계적 우수 학술지로 인정받는 기준으로 평가되는데, 국내 ... ...
그래핀 대체할 2차원 고분자 나온다
2016.06.14
HCI)로 도핑하는 공정을 거친 뒤에도 전도성이 1960배나 뛰어났다. 백 교수는 “2D PANI는
실험
실에서 화학반응으로 쉽게 합성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이라며 “5년 내 상용화돼 그래핀의 자리를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
2016.06.14
행동을 포장하는 것은 실제로 위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실험
을 했다. 사람들에게 학교 정책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를 하고 그에 대한 의견을 쓰게 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의 의견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다. 한 조건의 사람들에게는 “당신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 ...
뒤뚱뒤뚱 두꺼비, 사실은 평형감각의 달인?
2016.06.14
상황과 마찬가지로 기울어진 표면에 그대로 착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연구진은 이
실험
을 통해 두꺼비가 착지를 준비하며 그들 몸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시각에만 의존해 눈에 보이는 착지 지점의 상황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결국 두꺼비를 포함한 양서류 ... ...
차세대 ‘인공와우’ 원천기술 개발
2016.06.13
이용해
실험
용 인공와우를 제작하고 기니피그(쥐를 닮은
실험
동물)를 이용해
실험
을 진행한 결과 실제로 청력 복원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인공기저막을 이용하면 사람의 몸속에 삽입할 수 있어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음질은 기존의 7배 이상 뛰어난 차세대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실험
에 비용을 들이고 동물(토끼)을 괴롭힐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따라서 안전성
실험
과정과 결과 기재양식을 표준화해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물론 ‘구조로 작용을 추측한다’는 논리가 늘 먹혀들어가는 건 아니다. 구조가 약간 바뀌었을 뿐인데도 전혀 다른 특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 ...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06.13
반응을 살폈다. 기존의 연구들이 혀를 내밀거나 입을 크게 벌리는 한정된 행동으로만
실험
을 해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관찰 결과 아기들은 단 하나의 행동도 정확히 따라하지 못했다. 슬로터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아기를 대하는 어른의 행동을 정확하게 통제하지 않은 채 아기의 반응만을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2, 3시간 내 간단하게
실험
실에서 만들 수 있어 향후 안정적인 상태의 뇌에서 다양한
실험
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김 단장은 “뇌척수액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게 하면서도 실시간 관찰 및 치료가 가능하게끔 뇌에 창문을 만들 수 있다”며 “뇌 기능에 대한 ... ...
이전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