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내미생물이 뇌 자극해 살찌게 만들어”
2016.06.12
세포 안에 지방이 쌓이도록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고지방식을 먹인
실험
쥐의 장내에서 장내미생물이 변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아세테이트의 양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세테이트의 분비량이 늘면 심장 박동이나 소화와 같은 무의식적인 조절 과정을 담당하는 부교감신경이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텔레파시스트’되는 가장 현명한 방법
2016.06.12
TMS는 두피에 미세한 전류를 공급해 두뇌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는 기기를 말한다.
실험
에는 인도와 프랑스에 사는 4명의 건강한 사람들이 참여했는데 인도에 있는 사람이 영어로 ‘헬로(hello)’에 해당하는 스페인어 ‘올라(hola)’와 이탈리아어 ‘차오(ciao)’를 8000㎞ 떨어진 곳에 있는 3명에게 약 ... ...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과학동아
l
2016.06.12
겁니다. 설명이 천차만별입니다. 이걸 논쟁이라고 부를 수 없는 이유는 제대로 된
실험
과 논문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아프면 병원 갑시다 원리는 그렇다치고 그럼 효과는 정말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타깝게도 그렇지가 않네요.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진의 검증을 ... ...
수학 질문은 왼손잡이에게
수학동아
l
2016.06.12
사용하는지와 수학 성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6~17살 청소년 2000명을 대상으로
실험
을 했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이들에게 다양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어요. 그 뒤에 어느 손을 더 많이 사용했는지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좌뇌와 우뇌 중 어느 쪽을 더 많이 사용하는지 측정해 어떤 손을 더 ... ...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
과학동아
l
2016.06.12
아쉽게도 모든 이들이 약속을 지키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어떤 재료를 사용해서
실험
을 한 경우, 연구 재료를 제공하지 않는 사례가 많았다. 오픈사이언스센터는 그럼에도 배지가 없는 논문보다는 확실히 자료를 공유하는 비율이 높았다고 평가했다. 멜로리 키드웰 연구원은 “배지를 다는 ... ...
도와줘! vs 저리가!, 꽃 향기의 두 얼굴
2016.06.11
유채로
실험
을 진행했는데요. 해충의 침입 후에 일어난 유채의 반응을 관찰했습니다.
실험
결과, 유채는 해충을 해결해줄 기생말벌을 끌어들이기 위해 잎사귀의 향기는 강하게 발산한 반면, 꽃 향기는 현저하게 감소시킨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결국 수분을 하는데 필요한 곤충에게 이 유채는 꽃 ... ...
[이달의 사물] 노케미족
과학동아
l
2016.06.10
살균제를 액상으로 붓는 것과 스프레이로 뿌리는 것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독성
실험
을 한 뒤 제품으로 내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고 해요. 이처럼 화학제품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전문가들은 당장 노케미족이 되기보다는 주변의 화학제품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 ...
대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기록 갱신
2016.06.10
있다는 의미다. 이 수치는 학술 논문에 공식 발표된 기록으로는 가장 높다. 일반적으로
실험
실에서는 가로세로 길이가 4㎜급인 소형전지를 개발한다. 하지만 실제로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면적이 1㎠인 대형전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형화하는 과정에서 박막의 균일성이 떨어져 효율이 감소한다. ... ...
어른보다 어린이가 더 똑똑한 ○○○?
2016.06.09
수 있었지만 성체 중에서는 절반만 성공했다고 합니다. Julia Loepelt 제공 연구진은 이
실험
들을 통해 어린 카카앵무새가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훨씬 더 적응을 잘 하고, 그 결과 생존할 확률 또한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는데요. 무슨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연륜은 무시 못한다는 ... ...
‘男男’ 커플이 ‘女女’ 커플보다 손발 잘 맞아
2016.06.08
나눌 수는 없도록 했으며, 동시에 가깝게 누를수록 협동 점수가 높게 나오도록 했다.
실험
중 참가자들의 뇌 활동을 감지하기 위해 연구팀은 ‘하이퍼스캐닝’이란 기법을 사용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착용자의 뇌에서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팀은 뇌의 어느 ... ...
이전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