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산균, 정말 장 끝까지 살아남을까?→ 핵심은 생존력! 소구 균수를 확인하자 먹는 형태의 유산균 제품이 장까지 도달하려면 pH가 낮은 위를 통과해야 한다. 문제는 강력한 위산 때문에 유산균이 온전히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이다. 유산균의 생존력이 중요한 이유다.안희윤 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과정입니다. 디자인의 의미를 ‘조형 작품이나 제품의 형태, 색, 장식을 계획하거나 도안하는 것’에서 ‘주어진 작업을 의미 있게 만드는 기획’으로 확대한 것입니다.디자인 싱킹은 예술이나 건축 분야를 넘어 경영과 교육 등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모든 ... ...
- [과학뉴스] 밝혀진 X자 은하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의해 구부러져 부메랑 같은 모양이 됐어요. 반대편도 같은 원리로, 두 부메랑 모양이 X자 형태로 보인 거라고 밝혔지요.이번 발견은 남아프리카 사막에 있는 미어캣 전파망원경 덕분이에요. 지름 13.5m의 거대한 전파 안테나 64개가 함께 우주를 관측해요. 천체에서 온 전파를 분석해 천체의 위치, 크기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알리기도 쉽지 않죠. 그렇기에 수학자는 보통 학회, 세미나, 워크숍, 콜로퀴움 등 다양한 형태의 학술행사를 통해 자신의 연구를 알립니다. 신진 수학자에게 학술행사는 본인의 연구를 다른 수학자에게 알리고, 다른 수학자의 강연을 보며 배우는 좋은 기회죠. 수학자의 발표 모임 중 가장 유명한 건 ...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두 사람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적용할 가이드 RNA를 여러 형태로 변형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향상 가능성도 처음으로 보여줬다. 유전자가위로 인간 배아를 교정한다면? 2018년 허젠쿠이 당시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떠올린다. 그러나 양자역학에서 전자는 그리 단순하게 운동하지 않는다. 전자는 파동의 형태로 넓은 공간에 퍼져서 존재한다. 따라서 전자의 상태를 파악하려면 전자의 파동함수 모양부터 알아야 한다.전자의 파동함수를 운동량과 그에 따른 에너지로 3차원 좌표에 표시하면 고깔, 고리, 구와 같은 ... ...
- 정답 누설 수학 퀴즈쇼! 만능 수학 문제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합니다.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한 면의 대각선 길이가 구 지름의 2배인 정육면체 형태로 일부를 잘라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두 단계를 거쳐 채우기 밀도를 구해볼까요? 수학동아 독자, 수학자의 결과를 뒤집다?!채우기 문제의 활약이 대단하죠? 그런데 이 문제를 활용해 재밌는 연구를 한 ...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불안정한 형광 색소는 시간이 지나며 안정한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이때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렇게 물질끼리 반응해 빛이 나는 화학적 현상을 화학발광이라고 부릅니다.야광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유연한 플라스틱관 속에 또 다른 유리관이 들어있습니다. 유리관 안에는 다이페닐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소행성 채굴 업체들에도 소중한 정보가 되죠. Q로봇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요?정확한 형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탱탱볼 같은 고무 재질보다는, 탄탄하고 동그란 연등처럼 접었다 펴지는 구조를 생각하고 있어요. 그렇지만 아마 무척 귀여운 모습으로 만들어질 것 같아요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3차원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진 물질’에서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회절무늬 형태를 가진 고체’로 말이다. ★준결정 물질의 쓰임★준결정 구조는 재료 공학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준결정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셰흐트만 교수가 발견한 5회 대칭구조 외에도 여러 금속에서 8회, 1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