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자세히 보면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 등 4가지 염기가 쌍을 이뤄 늘어선 형태다. 유전자는 이런 염기쌍들이 여러 개 모여 하나의 유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 세트다. 즉, 유전 정보를 해독하려면 DNA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것이 먼저다. 참고로 DNA는 약 30억 개의 염기쌍, 약 2만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마지막 전쟁 때 모두 죽었다고 생각했지만, 아버지들은 태양계를 떠도는 나노봇 형태로 살아남았습니다. 그리고 광기와 증오를 간직한 채 태양계를 떠돌다 해왕성을 향해 다가오고 있었던 겁니다. 아버지의 영향을 받은 거미들은 아이들을 공격합니다. 서린이 이곳에 온 건 바로 이 ... ...
- [한장의 과학] 어떤 비밀이 담겨있을까? 개구리 두개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모양이 생물이 살아가는 ‘생태’와 관련이 깊다고 보았어요. 먹이 습관이나 방어 형태가 비슷한 개구리는 수백만 년 전에 계통이 분리됐어도 두개골이 비슷하게 발달했거든요. 연구를 이끈 다니엘 팔루 박사과정생은 “멕시코맹꽁이와 호주거북개구리는 계통이 먼 친척이고 서로 다른 곳에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그 특징을 찾는 순환 신경망(RNN)을 이용해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만들기도 합니다.알고리듬뿐 아니라 수학, 공학 분야의 최신 기술들은 뉴미디어아트와 서로 함께 발전하는 관계입니다. 예술과 수학, 과학, 공학과의 융합을 선도하는 미국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밝힌 것이다. 이때 뇌파를 전달하기 위한 전극은 머리카락 두께의 4분의 1정도로 얇은 실 형태다. 로봇을 이용해 이런 모양의 전극 수천 개를 뇌에 심으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고 받을 수 있다.머스크는 2020년 사람에게 직접 테스트할 계획을 발표했다. 만약 AI 이식에 성공한다면 뇌가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외에 심리학에서는 하나의 질문에 해당하는 정도를 점수 형태로 선택하는 ‘리커트 척도’ 답변 방식도 있지만, MBTI와 MMPI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인터넷에 무료로 제공되는 일부 MBTI 검사가 리커트 척도로 답변을 요구한다면 올바르지 않은 셈이다. 김 연구부장은 “약 7 ... ...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평소 동물 관찰을 좋아해 동물의 생김새나 근육 형태에 익숙했다. 잘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다.Q 박제사라는 직업의 매력은?박제는 정해진 방법이 없다. 생물 종이나 박제사가 선택한 자세에 따라 재료, 박제 방법 등이 달라진다. 바꿔 말하면 박제사 스스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바이러스 껍질를 이루는 모양은 정삼각형 아니면 정오각형 형태였습니다. 만든 수학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단백질 껍질의 기본 구조가 정이십면체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군론, 바이러스의 모양을 예측하다!1962년 미국의 생물학자 도널드 캐스퍼와 영국의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를 적용했습니다. 트러스 구조는 여러 개의 직선 부재들을 삼각형 형태로 배열한 뼈대 구조입니다. 육교나 타워크레인 등의 거대 구조물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트러스 구조가 더해지며 토 맛 나는 토마토주스 기계의 모습이 정말 유려한 건축물스러워졌습니다. 방황하는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정됐으며, 출품 형태는 텍스트(독후감), SNS 게시물, 유튜브 동영상, 팟캐스트 음원 등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1차 심사를 통과한 작품 15편에 대해 최종 심사가 이뤄졌고, 이강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정책보좌관), 이현경(과학동아 편집장) 등 두 명이 심사를 맡았다. 수상작은 두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