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전 백열전구에서 나오는 빛만을 사용하던 시절에 비해 레이저가 발명된 후 과학과 첨단
기술
이 엄청나게 발전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원자레이저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대략 짐작해볼 수 있다. 물론 레이저가 처음 발명됐을 당시 사람들은 별로 쓸데없는 것으로만 생각했고 실생활에 응용되는데는 ... ...
식지 않는 피자 포장 쓰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한 중소기업이 치과 분야에서 획기적인
기술
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
을 이용해 치아를 코팅하면 절대로 이빨이 썩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발명가는 좌절을 맛봐야 했다. 치과의사와 치과협회에서 조직적인 거부운동과 불매운동을 벌여 어느 누구도 그들이 개발한 ... ...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시상식 거행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겨울캠프에 참가하는 특혜가 주어진다. 겨울캠프 프로그램은 대학의 전문가의 정보통신
기술
관련 강의와 함께 직접적인 실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좀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gifted. kaist.ac.kr 참조) ... ...
영화관의 감동 거실에서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홈시어터의 대표적인 비주얼 시스템은 물론 TV이다. 그러나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TV는
기술
적으로 36인치가 한계이다. 그래서 40-60인치 사이즈의 TV들은 대개가 프로젝션 방식을 택한다. 프로젝션 TV는 브라운관 TV처럼 직접 형광면에 빛을 쏘는 방식이 아니라, 내부에 들어 있는 브라운관 또는 액정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대편 끝을 AFM의 탐침에 고정시킨다. 여기에는 쉽지 않은 나노조작
기술
이 필요하다. 그런 후 탐침을 시료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간다. 이때 단백질을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힘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바로 탐침에 부착된 캔틸레버의 휜 정도로 말이다.단백질이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93년 개발한 무선접속방식의 하나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를 기본
기술
로 도입해 인천과 부천 지역에서, 그리고 그해 4월에 서울 전지역에 서비스가 개시됐다.이어 1997년 10월 1일부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고속도로 등의 지역을 커버하는 것을 위 ...
핸들 잡은 채 자동차 히터켠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갖고 있다.때문에 영국 던디대 스티븐 맥케냐 박사는 음성인식방식 대신 컴퓨터영상
기술
을 이용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차내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가 운전자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가능하다.계기판 위에 장착된 조종버튼이 있는 투명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운전자는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용한 리소그래피
기술
들이 개발돼 다양한 응용분야에 쓰이고 있다. 특히 다른 어떤
기술
도 따라올수 없는 고해상도와 다른 리소그래피에 비해 값싼 시설 비용 때문에 SPM을 이용한 리소그래피는 앞으로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리라고 생각된다. 비록 대량생산에 이용되려면 아직 속도를 비롯한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바탕으로 3-4시간의 관찰을 해보는 자리였다.앞으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는 과학
기술
부의 지원을 받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시세계 교육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또한 오는 11월에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어찌보면 나노과학에 대해 문외한인 것은 과학자나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상대성이론에서 비롯된 블랙홀 연구는 급속히 발전하는 인공위성과 전자장비의
기술
에 힘입어 21세기에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 블랙홀은 주로 블랙홀로 유입되는 물질에서 방출되는 X선에 의해 그 존재가 확인된다. 이때 유입되는 물질은 블랙홀 주위의 가스나 원반에서 흘러들어온 것이다. 이런 ... ...
이전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