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보전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우리가 마셔야 할 공기나 물에 유독한 오염물질들이 들어 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깨끗하고 쾌적하게 보전하기 위해 노력 ... 경우들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와 같은 비극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보전
기술
은 지금도 오염물질과 싸우고 있다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류부소장은 신
기술
과 응용과학
기술
분야에서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제10회 다산
기술
상’의 대상을 수상했다. 밀리칸주 개발 덕분이다. 류부소장은 동료에게 공을 돌리면서,“ 밀리칸주가 할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 세계적 신약개발도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전환되는 다리가 될수 있기를 ... ...
로봇 이용 대륙간 원격수술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영상의 최소 전송 시간간격은 0.33초이다. 이번 수술의 경우 ‘프랑스 텔레콤’의 최신
기술
을 이용해 원격조종을 한 후 0.155초만에 수술진의 비디오 화면에 수술로봇이 이 움직임을 그대로 실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이번 원격수술은 1927년 대서양 단독횡단비행에 첫 성공한 찰스 린드버그의 이름을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정보를 추적하기보다 앉아서 첨단장비로 정보를 빼내는데 주력했다.실제로 미국은
기술
적으로 가장 정교한 국제감시네트워크를 운영해 왔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협력해 관리중인 국제적인 감청시스템인 이른바 에셜론이 그것이다. 해저광케이블과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에셜론은 ... ...
제트엔진 소음 없는 비행기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규명하고 줄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공력음향학이다. 국내에서는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AIST)의 공력음향학연구실이 단연 그 선두에 있다.비행체의 소음을 줄이는 연구는 우주발사체뿐아니라 민간항공기의 개발에도 중요하다. 최근의 민간항공기는 공항주변의 소음 환경규제를 만족시켜야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개발에 지금 이 시간에도 노력중이다. 또한 개발된 나노 디바이스는 다시 새로운 SPM의
기술
을 탄생시킨다. SPM과 나노 디바이스의 상호상승작용은 나노과학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 ...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못하는 아이디어는 결국 사장될 수밖에 없다. 발명가는 현재의
기술
들이 모여서 새로운
기술
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을 이해하고당대에 맞는 최선의 아이디어를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이다. 시대를 앞선 아이디어가 빛을 보지 못하는 이유는 발명가에게도 큰 책임이 있다 ... ...
웹서버 '몰래' 쓰는 기생컴퓨팅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출신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것이다.이른바 ‘기생컴퓨팅’(parasitic computing)이라 불리는 이
기술
의 핵심은 특정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계 컴퓨터를 소유자의 동의 없이 이용한다는 것. 즉 매우 복잡한 문제를 세분화해 작은 단위로 나누고, 이를 전세계 컴퓨터의 웹서버에 분산시켜 계산토록 해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로부터 2백년이 지나 안경이 등장했다. 그리고 과학
기술
의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 최초의 현미경은 1590년에서야 만들어졌다. 즉 제1세대 현미경인 광학현미경이 출현한 것이다.제1세대 현미경은 과학자에게 식물과 동물의 세포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같은 정보도 시각적으로 함께 표현해줄 수 있다.이같은 시각화가 SPM을 이용한 나노조작
기술
과 함게 구동되면 과학자는 지금보다 쉽게 나노세계를 다룰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교육용 자료로 이용할 가치도 높아진다. 실제로 현재 미국의 몇몇 대학과 기업 연구소는 나노 이미징을 이용한 ... ...
이전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