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두 입] 클로버 잎 4개는 행운, 숫자 4는 불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1만 개 중 한 개만 발견된다는 행운의 상징, 네 잎 클로버! 4개의 고운 잎이 맞닿아 있는 모습을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져요. 숫자 4는 행운의 상징인가 봐요! 어라, 그런데 ... 나타나는 모양이나 특징을 말해요.건국 신화★ 한 나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관한 신비한 이야기를 말해요 ... ...
- [뉴스&인터뷰] 칼 세이건에 ‘진심’인 사람들 강남 한복판에 모이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불금이던 2022년 12월 9일 저녁 7시. 서울 강남 한복판의 전시장 문을 열고 들어가자 파티 현장이 펼쳐졌다. ‘우주정거장에서 EDM 파티가 벌어진다면 이런 느낌일까’ 싶 ... 진행된다. 한 해의 시작인 1월, 익숙한 환경을 벗어나 낯설고 새로운 공간을 찾아보고 싶다면 방문해보는 건 어떨까 ... ...
-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저기 봐! 분위기가 달달한 걸 보니, 모기 두 마리가 소개팅을 하고 있나 봐. 암컷 모기는 수컷 모기가 마음에 든 눈치인데…. 수컷 모기는 영 아니네? 무슨 이 ... “수용체를 찾는다면 다른 생물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고 모기의 세로토닌만 조절해 모기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어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가자미보다 크기가 훨씬 커서 게나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기도 해요. 입도 가자미에 비해 크고 이빨도 날카롭죠.넙치와 가자미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쏠려 있지 않아요. 둘 다 새끼 물고기인 치어 때는 눈이 몸 양쪽에 하나씩 대칭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치어는 수면 근처에서 생활하죠. 이후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를 실천하며 지구의 미래를 지켜나가는 영웅을 소개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와 환경을 위해 여러분도 함께해 주세요! ★팝콘플래닛 앱 ... 감싸고 있는 라벨을 벗겨 분리배출했어요. 굉장히 쉬웠답니다! 여러분도 집에서 따·분·행!을 실천해 보세요 ... ...
- [메타버스 여행법] 점프 점프! 제페토에서 뛰어 보자, 팔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제페토의 점프 게임에 참여해 보세요. 다양한 게임 참여 모습을 찍어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참여 방법팝콘플래닛 > 플레이콘 > 어과동 놀이터 > 사진터에 댓글로 올리기. 7화 당첨자박서호 독자가 크리스마스 파티 이벤트에 참여했어요. 친구들과 즐거운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버린 설진은 여전히 화가 덜 풀린 듯 보였다. 자신에게 일을 전가시킨 누나나, 그로 인해 만나게 된 불쾌한 직원 녀석이나, 자식으로서 아버지의 내세를 신경 써야만 하는 불편한 채무 의식이 그를 업무에 온전히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 같았다. 자신을 둘러싼 복잡한 상황들에 진절머리가 났다. ... ...
- [꿀꺽! 수학 한 입] 흩어지면 느리고 뭉치면 빠르다! 과자는 모두 몇 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더하면 된답니다. 사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물건의 개수를 빠르고 간편하게 세기 위해 묶어 세기를 했어요.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살았던 수메르인은 특별한 도구를 사용했어요. 바로 고깔, 구슬, 공 모양의 진흙 조각이에요. 각 조각은 1부터 36000까지의 수를 ... ...
- [에디터노트] 서른 여덟 즈음에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과학동아는 1986년생입니다. 저랑 동갑이죠. 새해부터 ‘만 나이’로 법을 통일한다지만, 한국 나이로 세고 싶네요. 올해 38살입니다. 저는 요즘 새로운 ... 유튜브 채널들. 서른 여덟해 동안 허투루 산 건 아니라고 위로해주고 싶네요. 과학동아에게. 새해 새길을 잘 걸어갈 수 있을 거라고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탐구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마지막으로 패트리샤 양 교수에게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해 물어보았다. “이그노벨상을 받은 후부터 주변 사람들이 제게 자꾸 이상한 똥에 관한 소문을 알려줘요. 최근에는 흰개미가 육각형 똥을 눈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연구 소재로 어떨지 관심을 가지고 있답니다!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