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여기가 초원이야? VR 마취(?)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통증을 덜어낼 방안으로 VR을 떠올렸어요. 외과 수술 도중 환자에게 안정을 주기 위해 VR 영상을 보여주기로 한 거죠. 의료진은 손이나 발목 등의 부위를 수술받는 환자 34명 중 절반에게 VR기기와 헤드셋을 착용시켰습니다. 이후 수술을 진행하면서 숲이나 밤하늘 등 조용한 영상과 음악을 틀어주고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박테리오파지는 정말 희한하게 생겼어. 세균을 먹고 사는 이 녀석들이 어쩌면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지도 모른대! 어떻게 그런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된 걸까? 겉 ... 시청하면 그 결과를 볼 수 있어요! ●영상 제목바다거북을 2박 3일 동안 밀착 취재해 보았습니다●채널명동아사이언스 ... ...
- 미션2. 음료수 레시피를 개발하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재료 양은 우유 500mL, 초콜릿 8개, 선인장 가루 3스푼! 원래의 레시피와 새 레시피를 비교해 보세요. 처음 재료에서 얼마만큼의 양이 늘어났는지, 전체의 양은 얼마인지 알 수 있어요. 새로운 재료는 몇 개? 이제 알록달록한 재료들로 새 음료수를 꾸며 손님의 눈을 사로잡을 차례! 몬 사장이 여러 가지 ... ...
- [출동!슈퍼M] 피자를 다른 모양으로 나눌 수는 없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하려면 ‘중심각’이 같아야 해요. 부채꼴의 중심각은 두 반지름 사이의 각도를 말해요. 만약 피자를 6명이 똑같이 나눠 먹는다면, 원의 각도인 360를 6으로 나눈 값, 즉 중심각이 60인 부채꼴로 나누면 돼요. 12명이 똑같이 나눠 먹으려면 중심각이 30인 부채꼴로 나눠야 하지요 ... ...
- [특집] 싹트네~ 싹터요~. 머리에 채소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형태를 유지할 정도로 튼튼했지요. 게다가 케라틴과 셀룰로오스는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됩니다. 연구팀은 “단순히 식물을 잘 자라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친환경 재료를 찾고 싶었다”며 “사람의 머리카락뿐 아니라 가축의 털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다양한 농작물에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가장 유력한 후보랍니다. 올겨울,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있는 화성을 관측해 보는 것 어떨까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중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지구에서 발사된 날은 언제일까요?(힌트 : 화성은 약 2년 2개월마다 가까워져요.)① 1967년 7월 16일② 1990년 4월 24일③ 2 ... ...
- [메타버스 여행법] 아는 만큼 즐겁다! 이벤트 즐기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나누는 것도 잊지 마세요! 다음 시간에는 제페토에서만 즐길 수 있는 재미난 게임에 대해 알아볼게요. 그럼 다음에 만날 때까지 다들 신나게 지내요. 오바~ ... ...
- 미션3. 디저트 메뉴를 만들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두 재료를 같은 양으로 만들려면 쿠키 장식 7개를 빼거나, 구슬 장식 7개를 더해야 해요.또, 밀가루는 700g, 옥수수가루는 350g이 남아서 밀가루가 350g 더 많네요. 생크림은 270g, 초콜릿크림은 200g이 남아서 생크림이 70g 더 많아요. 이처럼 두 수를 비교하면 서로의 양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확인할 수 ... ...
- [꿀꺽! 수학 한입] 흥부놀부의 박은 얼마나 컸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높이는 약 330cm였을 거예요. 만약 흥부의 박에 방이 단 한 칸뿐인 기와집이 들어있었다 해도, 기와집의 가장 긴 부분의 길이는 약 473cm나 돼요. 박의 지름은 473cm이거나 그보다 커야 하지요. 물론, 마법의 박인 만큼 주먹만 한 크기의 박에서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튀어나왔을 수도 있지만요 ... ...
-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멜라닌은 생명체의 피부가 검은색을 띠게 하는 색소로, 방사선을 흡수해 유전자 변형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연구팀은 사고 당시 멜라닌이 풍부한 검은 청개구리들이 방사선의 영향을 덜 받아 더 많이 살아남았고, 까만 청개구리들이 번식한 결과 현재 개체수가 늘어났다는 결론을 내렸죠.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