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그 날 점심에 어디서 무얼 먹었는지. 국가적 재난은 모든 국민에게 트라우마로 남는다. 재난이 발생한 뒤 진상규명이나 수습과정이 미온할 때 더욱 그렇다. 최근 몇 년 사이 큰 재난 여럿을 겪은 대한민국 사회가,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다.먼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용한답니다. 비둘기는 생체자석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동물이에요. 비둘기는 머리뼈와
뇌
사이에 자성을 띠고 있는 자철석을 가지고 있어서 지구 자기장을 감지해서 방향을 알아낼 수 있어요. 실제로 비둘기의 몸에 자석을 붙여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게 하면 집을 잘 찾지 못한다는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밀접해질수록 주고받는 정보도 늘어났다. 결국
뇌
에서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아져 대
뇌
피질의 표면적이 넓어지고 신경회로의 연결이 많아졌다. 또한 다른 이가 말하는 속뜻을 헤아리거나 상황을 파악하는 것처럼 복잡한 사고를 하는 것도 지능을 발달시키는 데 한몫했다. 이 모든 활동의 근원에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어지고 있죠.젊은 피 연구가 단순히 현대판 뱀파이어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근육과
뇌
의 노화로 고통 받고 있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임을 연구 결과로 잘 보여주길 바랍니다 ... ...
Part 4. 금연, 온가족이 함께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느끼게 되는 거예요.도파민은 담배를 피운 뒤 30분이 지나면 급격히 줄어들어요. 그럼
뇌
는 도파민을 계속 분비하기 위해 담배를 피우고 싶은 충동이 들게 하지요.이러한 과정은 어떤 행위에 중독되었거나 마약을 했을 때와 똑같아요. 그래서 오랫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디자인회사 회브딩이 2013년 개발한 것으로, 사고가 나면 에어백이 머리에서 목까지 감싸
뇌
손상은 물론 목 부상도 줄일 수 있어요.우리나라는 13세 이하 어린이에게만 안전모 착용을 필수로 하고 있어요. 하지만 중·고등학생도 자전거를 타다가 머리를 다칠 수 있어요. 귀찮더라도 꼭 안전모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공식화할 것”이라며 “
뇌
를 이해하는 기술적인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그의
뇌
에서 손 동작과 감각을 인식하는 부분에 소형 전자장치를 심었다.코플랜드는 자기 의지대로 로봇 팔을 움직였고 로봇 손가락이 사물에 닿을 때마다 촉감을 느꼈다. 눈을 가리고 로봇팔의 어느 손가락이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 주목했다. TrkA 수용체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뇌
에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를 아프리카두더지쥐 등 다른 포유류 26종의 수용체와 비교했다.그 결과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서 1~3개의 아미노산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한다.최근에는 오토파지에 이상이 생기면 헌팅턴 무도병과 치매,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
질환과 암, 여러 대사 질환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토파지가 필요한 시간에 적절한 장소에서 제대로 일어나지 못해, 기능적으로 변형된 단백질과 소기관들이 쌓여 세포의 항상성을 무너뜨리기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