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복잡한 만큼,
뇌
가 손을 제어하는 메커니즘도 아주 복잡하다. 손을 움직일 때는 대
뇌
피질의 운동 영역이 34개의 근육 중에서 필요한 근육을 선택해 미약한 전기신호를 보낸다. 이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근전기신호라고 한다. 전기신호를 받은 근육의 운동신경세포가 활동하면 근육이 수축해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윤환은 평온한 얼굴로 비니를 가리키며 덧붙였다.“니샤, 혹시라도 저 사람들이 내 소
뇌
증 육체만 파괴하거든 꼭 모자를 태워줘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지도자가 돼서 시뮬레이션이 틀렸다는 걸 증명해줘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속죄는 이게 전부예요.”그는 말을 마친 다음 성이 나서 고함을 지르고 ... ...
Part 1.
뇌
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맞는 영상이 나타나게 된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의 비밀Part 1.
뇌
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게임과 같은 오락뿐 아니라 교육이나 의료 실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
뇌
를 속이는 가상현실 치료법가상현실을 말할 때 의료계도 빼놓을 수 없다. 정신의학과에서는 거식증 환자에게 가상 환경 속 신체 변화를 보여줘 섭식 장애를 치료한다. 고통스러운 화상 치료를 받아야 하는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말했다. 이 교수가 위키피디아에 있는 2010년까지의 3D 프린팅 데이터로 검증해본 결과
뇌
이식, 우주정거장 건설 등과 연결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3D 프린팅 기술은 현재 우주건설, 인공 장기와 관련해 연구가 한창이다.UNIST의 빅데이터 연구센터는 이렇게 개발한 예측 모형을 실제 산업과 ... ...
INTRO. 가상현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어과동 편집부라고? 말도 안 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의 비밀Part 1.
뇌
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따라 움직이기도 한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의 비밀Part 1.
뇌
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 ...
[과학뉴스] 철새의 졸음비행…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사실을 알아냈다. 큰군함조의
뇌
는 좌우반구 중 한 쪽만 잠드는 경우도 있었다. 한 쪽
뇌
만 수면상태일때는 눈을 한 쪽만 뜨고 천적과 같은 주위의 위험요소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큰군함조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행 중에 하루 평균 42분을 잔다고 설명했다.큰군함조가 육지에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냄새분자와 코 안에 있는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짝이 맞으면
뇌
로 신호를 보내 냄새를 인지한다는 후각 메커니즘을 밝혀 2004년 노벨상을 받았다. 후각수용체 유전자 하나가 화학물질 하나를 담당한다. 인간의 경우,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후각수용체 유전자의 수는 약 400개다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장 속에는 신경전달물질에 반응해
뇌
에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신경세포가 수백만 개 존재한다.장내미생물이 사람의 면역계에 영향을 주는 과정도 최근에 비교적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세포의 일종인 조절T세포가 제 역할을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