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는 유전병의 종류는 수십 가지가 넘는다. 마땅한 치료법이 없고, 유전자를 물려준 어머니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현재까지 이 유전병을 막는 유일한 ...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해요. 크립토크롬 단백질은 지구의 자기장과 반응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는 뇌로 전달된답니다. 즉, ‘자기장을 보는 눈’을 갖고 있는 거죠.크립토크롬 단백질을 가진 동물들은 눈으로 자기장을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에 나침반보다 훨씬 정확하게 방향을 감지할 수 있어요. 철새들이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짝짓기 신호를 감지할 때 활성화됐다. 호버트 교수는 “암수의 성장 단계에서 뇌 발달 차이가 생기는 것 같다”며 “어떤 기전으로 신경망의 연결이 달라지는지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약 35억 년 전 모든 생명체의 공통조상이 등장한 뒤 생명체는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이라는 세 왕국으로 갈라섰다. 진핵생물 외에 고세균과 세균을 묶어 원핵생물이라고 부르기도 ...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육 같이 인간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분야에까지 진출했어요. 그런데 인공지능은 사람의 뇌처럼 복잡하고 다각적인 사고를 하지 못해요. 또 알파고의 바둑, 왓슨의 퀴즈나 의료처럼 어느 한 분야만 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대신 인간이 하기 어려운 복잡한 계산이나 데이터 분석은 인공지능이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물고기의 수는 뇌가 작은 물고기가 16% 정도 더 많았답니다.콧샬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뇌의 진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고려해야 한다. 또 사망자에는 죽은 좀비도 포함된다. 연구팀은 좀비의 머리를 자르거나 뇌에 큰 손상을 입히면 좀비가 죽는다고 가정하고 전염병 모델을 만들었다.[미분방정식★ 풀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어 변화율을 구하는 데 많이 쓰인다.]잠복기 없으면 4일 만에 인류멸망만약 좀비가 되는 데 ...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것도 확인했다. 백 교수는 “자가포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암이나 퇴행성 뇌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자가포식 조절에 필수적인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토콘드리아와 진핵세포의 동거는 수십억 년 전에 시작됐지만, 아직 이들의 동거는 불편하다. 에너지 공장에서 내뿜는 불쾌한 매연은 퇴행성뇌질환을 유발하며, ...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전통적으로 섭취해 온 식품에 든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부작용의 소지가 적다”며 “뇌 건강에 긍정적이라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나온다”고 동조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더 정확히 밝혀져야 할 부분은 남아 있다. 테아닌이 흥분한 상태를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