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상의 수학자 ‘제임스 모리아티’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코난 도일’의 추리 소설에는 사설 탐정 ‘셜록 홈즈’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일하다 돌아온 의사 ‘존 왓슨’이 등장한다. 알쏭달쏭한 사건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모습은 수많은 팬을 사로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스마트폰은 화면부터 떨어질까?첫 날, 뭔가 재미있는 게 있어서 스마트폰에 시선을 두고 걸어가고 있었다. 아뿔싸! 걸어오던 사람과 부딪혀 스마트폰을 떨어뜨리고 말았다. 제발 화면만큼은 깨지지 않았으면! 하지만 화면은 어김없이 깨져버렸다. 어휴, 새해 첫날부터 이게 무슨 일이람? 왜 하필 스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말씀을 듣다 보니 건축가는 정말 많은 지식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공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물론이고 의뢰 받는 건축물에 맞는 공부를 그때 그때 해야하는데, 교수님은 어떻게 이 많은 공부를 다 소화하시는지 궁금합니다.조항만 이 일을 오래하면 근육이 붙습니다. 빠르게 핵심을 파악하고 ... ...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작가는 심해 생태계의 존재와 박쥐의 초음파, 세균 감염의 위험성 등 다양한 생물학 지식들이 밝혀지기까지의 방대한 과학사를 그렸다.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게 작가 본인이 주제를 정하고 방대한 책과 논문을 탐독해 얻은 결과라는 점이다. 책을 읽다 보면 “과학을 향한 만화가의 연애편지”라는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꼭짓점과 꼭짓점을 잇는 변으로 이뤄진 대상을 ‘그래프’라고 합니다. 그래프는 ({1,2,3}, {1-2,2-3, 3-1})처럼 꼭짓점 집합과 변 집합의 순서쌍으로 나타냅니다. 매우 추상적이지요. 지하철 노선도처럼 꼭짓점은 점, 두 꼭짓점을 잇는 변은 선으로 나타낸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위의 두 그래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뜨거운 시럽’ 맨틀에 뜬 ‘사탕’ 같은 대륙1960년대 들어 과학자들은 대륙이동설보다 훨씬 자세히 지질활동을 설명하는 ‘판구조론’을 세웠다. 전 세계 지표면은 몇 개의 판으로 나뉘어 있으며, 판이 널빤지처럼 움직인다는 이론이다. 판은 서로 부딪치거나 멀어지면서 지진이나 화산을 일으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인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회의 건전한 긴장 관계라고 믿는다.마지막으로, 과학동아의 기사를 읽고 더 넓고 깊은 지식을 얻고 싶어하는 독자를 위해 그 동안 한국의 대중 과학기사에서는 불문율처럼 생략해 왔던 중요 참고 논문 정보를 표기한다. 이는 과학자들이 줄곧 요청했던 내용이다. 과학동아는 앞으로도 독자와 ... ...
- 대기와 태양이 만드는 변화무쌍 날씨와 계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공전 주기를 알고 그에 따라 시간을 나누어 사용하고 있어요. 우리 조상들 역시 천문학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1년을 24절기로 나누고, 각 절기에 맞춰 농사 계획을 세웠답니다. 그런데 당시에는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 ‘음력’을 사용했어요. 지금은 태양을 기준으로 한 ‘양력’을 쓰기 ... ...
- 즐겁게 놀다 보니 창의력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직접 조립한 케플러식 천체망원경이에요!”지난 11월 25일부터 2박 3일간 대전에 있는 국제지식연수원에서는 ‘나눔발명’이라는 이름으로 특별한 행사가 있었어요.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열기가 대단했다고 하는데, 현장으로 함께 가 볼까요?➊ 직접 조립한 망원경으로 주변을 관찰하고 있는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전 마크 와트니가 뛰어난 과학 지식을 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그가 과학 지식을 생존에 적용하는 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또 그의 사고방식도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마크 와트니는 화성에 홀로 남았지만, 혼란에 빠지지 않았고 끝까지 그가 할 수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