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설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라는 도구가 인류에게 어떤 도움을 줄 것인지, 또 이에 따른 부작용은 무엇이 있을지 짚어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의사결정 신경과학_정재승 “과학자들은 학문의 최전선에서 우주와 자연, 생명, 의식을 연구하면서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해 주고 싶은 말?여러 과학 분야에서 시민들의 활약이 점점 더 커지고 있어요. 이처럼 인류의 궁금증들을 해결하는데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할 수 있는 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시민과학자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직여요.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풀리지 않던 문제도 풀 수 있어요. 콧구멍 크기 결정하는 기후?1800년대 말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아서 톰슨은 춥고 건조한 나라 사람들은 코가 좁고 길고, 덥고 습한 나라사람은 코가 뭉툭하고 넓다며 코 모양이 기후와 관련 있을 거라고 주장했어요. 이걸 ‘톰슨의 코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수가 뼈 손상과 법고고학을, 그리고 김나진 부산지방경찰청 과학수사 주임이 법인류학과 기상학을 담당하고 있다. 관련 데이터 처리와 통계 분석은 정수진 고려대 통계학과연구원이 맡고 있다.사후변성학팀은 그간 실험을 통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수사 방법을 연구해왔다. 여기서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올해 11월 확정돼 내년 5월 20일부터 적용된다.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를 탐구하다인류는 문자가 만들어지기도 전인 아주 오래 전부터 화학 반응으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었다. 그러나 화학 반응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시작한 건 그로부터 한참 지난 18세기 후반이었다. 프랑스의 화학자 ... ...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03~2004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허블 울트라 딥 필드(Hubble Ultra Deep Field)’예요. 인류가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가장 먼 거리의 우주를 포착한 것으로, 대략 1만 개가 넘는 은하가 담겨 있지요. 그런데 이 사진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자 피아노 음이 울려 퍼졌어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지요. 하지만 최근 멸종하는 생물종들이 급격히 많아지고 있어요.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인 20만 년 전에 비해 수백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생물종들이 멸종하고 있지요. 전세계 과학자들은 빠른 멸종 속도를 지적하며 공동성명을 내고 있답니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다른 생물들이 멸종하는 게 왜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메커니즘 발동, ‘반복 강박’‘왜 나는 늘 비슷한 사람에게 끌리는가’에 대한 고민은 인류의 오랜 숙제였다. 1900년대 초반부터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과거의 연애가 상처만 남겼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오스트리아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새로운 유형의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인류는 낮과 밤 구분 없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자유를 얻었습니다. 말하자면 인류는 인공조명의 탄생에 힘입어 눈부신 경제적, 산업적 발전을 이룩해 온 셈입니다. 하지만 백열전구와 형광등의 밝은 빛 이면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백열전구는 수명이 짧고 에너지의 95%가 열로 손실된다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