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화 사회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기술의 혁신에 따른 산업화를 통해 농업 위주의 사회에서 공업 중심의 사회로 변했다. 인류는 산업사회로의 진입으로 다양하고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됐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경제활동 범위가 확대됐을 뿐만 아니라, 생산 기술의 발달과 자동화로 대량 생산, 대량 공급, 대량 소비의 생활양식이 ...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국내 트렌드에 맞춰 편곡해 만들었다. 레이블 이름은 ‘A.I.M’으로 지었는데, ‘인류의 창작물(Art In Mankind)’과 ‘인공지능 음악(AI Music)’이라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 쥬크덱은 웹사이트(www.jukedeck.com)를 통해 누구나 음악을 만들 수 있도록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포크, 팝, 락 등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탄생한 수백 만년 전부터 지금까지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명 현상을 분석하려고 노력해왔습니다. 1970년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이 등장하면서 그 길이 열리는 듯 했습니다.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됐고, 여러 생물의 유전체 정보가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35.7세, 166cm’.과학동아 편집부 기자들의 평균 연령과 평균 키다. 마감 기간 이들은 13만8000원 어치의 과자를 섭취하며, 퇴근 후 들이붓는 맥주의 양은 가늠하 ... 들어설지, 아니면 남은 인생을 행복하게 보낼 것인지. 당신이 14분의 1로 줄어들었다면 인류를 위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래피티에는 페인트로 자동차 배기가스를 쓴다. 대기오염 지독한 뭄바이 여행이 계기인류 최초의 미술가가 석회석 조각으로 동굴 벽에 그날 잡은 짐승과 사냥 과정을 그림으로 남겼다면, 21세기에는 환경 보호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배기가스를 모으는 사람이 있다. 2013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싫어했던 미야자키는 ‘붉은 돼지’와 ‘바람이 분다’에서 비행을 꿈꾸면서도 그것이 인류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갈등하는 인물을 다룹니다. 이를 가만히 보면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쟁이 겹치기도 합니다. 누군가 열정을 다해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동안, 그것이 전쟁 무기로 쓰일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최초 검출 지역의 이름을 따 ‘빅토리아형’과 ‘야마가타형’ 2가지로 구분한다. 인류가 독감에 치명타를 입었던 스페인독감(H1N1), 아시아독감(H2N2) 등은 모두 A형 바이러스였다. 한국에서 80여 명의 사망자를 냈던 신종플루(H1N1) 역시 A형이다. 이 때문에 A형의 위협성에는 공감하면서도, B형 독감은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강조하고 있다. 책임 윤리는 기업뿐만 아니라 지구촌의 모든 국가와 공동체는 물론 인류 전체가 이를 올바로 인식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과제다. 지구촌 구성원 모두는 사회적, 환경적 공익을 추구할 책임을 갖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것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소한의 윤리적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탄생해요. 오래 전 지구에서 번성했던 공룡은 크리스마스가 되어서야 나타난답니다.현생 인류가 나타난 건 12월 31일, 우주 달력의 마지막 날 밤 11시 52분이에요. 이후 인간은 농사를 짓고 도시를 만들었으며, 우주를 탐험할 수 있을 정도로 진화했어요. 우리가 역사책에서 보던 많은 일들이 우주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은 남자1998년 세계 최초로 생체 전극을 이식한 케빈 워윅 영국 레딩대 교수는 인류 최초의 ‘사이보그’로 불린다. 2017년 11월 30일 서울 성동구 에스팩토리에서 열린 ‘스타트업 콘 2017’ 행사장에서 만난 워윅 교수는 “사이보그는 IT기술을 통해 본래 인간이 가진 능력을 넘어서는 능력을 가지게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