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일지, 아니면 아인슈타인 이후로 이제까지 우리가 믿어왔던 시간과 공간의 구조가
잘못
된 것인지 지금은 쉽게 판단할 수 없다. 상상력을 발휘한다면, 어쩌면 중성미자가 웜홀이나 여분의 차원을 통과했던 것인지도 모른다.그러나 더 흥미로운 점은 우리가 시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멋진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교수는 “물체의 속도만 빛보다 빠르다고 해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잘못
된 생각”이라며 “웜홀과 같은 시공간이 구부러진 공간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형도 교수는 “현실적으로 웜홀을 이용한다고 해도 조석력에 의해 모든 구조가 부서질 것이므로 사람이나 우주선이 ... ...
발명학교 '다맹그러 스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한 무리 더 준비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동물의 수가 맞지 않는다! 어떤 동물이
잘못
된 걸까? 그래서 몇 ㎖야?썰렁홈즈의 도움으로 파스퇴르는 무사히 실험을 시작할 수 있었다.“자, 이제 동물들에게 탄저균 배양액을 주사하겠습니다. 그리고 12일 뒤에 조금 더 센 탄저균 배양액을 주사할 ... ...
게임, 뇌에 도움 안 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을뿐만 아니라 재현도 안 된다는 것이다.부트 교수는 실험 대상을 모집하는 방법부터
잘못
됐다고 지적했다. 인지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숙련된 게이머와 일반인을 모집하는 데는주로 광고를 게재하거나 대학생 중에서 뽑는 방법을 쓴다. 부트 교수는 “그럴 경우 실험 참가자들은 연구자들이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으니, 데이터베이스가 문제라는 뜻이다. 만약 모바일OS인 안드로이드의 팬들이 일부러
잘못
된 예문을 마구 올린다면 이런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맥락인식으로 더 정확하게자동번역기술이 아직 완전하지 않아 어처구니없는 오역이 많은 건 사실이다. 그런데 자동번역의 장점을 ‘오역이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말했다. 과거 아인슈타인이나 슈뢰딩거 등이 주장했던 것처럼 양자역학 자체가
잘못
된 이론체계로 판명될 가능성은 적다는 뜻이다. 무라오 미오 일본 도쿄대 물리학과 교수(나노양자정보전자연구소 교수)는 “양자역학에 오류가 있는지 실험을 통해 수없이 검증해 봤지만 양자역학과 일치하는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못한 적이 많았다. 흔히 시험복 없는 학생이 있다고 하지만 긴장하는 바람에 답 체크를
잘못
했을 수도 있다. “저는 운이 없나봐요. 시험 성적이 공부한 만큼 안 나와요.” “시험장에 가면 떨려서 실수를 해. 대범해지려면 자신감을 많이 갖는 수밖에 없어. 자신감이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떨려서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보부상 ‘설주’ 는 사신단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한몫 단단히 챙길 결심을 한다. 그러나
잘못
된 정보로 전 재산을 잃게 된다. 그러면서 세종의 호위무사인 ‘창강’ 과 홍리, 설주가 엮이게 된다. 설주는 홍리가 비밀무기 신기전 개발의 핵심인물임을 알게 되면서 그녀가 보여준 신기전의 위력에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10의 배수이므로 체크 숫자로는이 오류를 잡아낼 수 없다.그런데 이렇게 많은 숫자를
잘못
읽는 경우는 발생하기가 쉽지 않다. 그에 비해 연속하는 두 자리의 수를 서로 바꾸어 읽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발생하기 쉬울 것이다. 따라서 발생한 오류를 연속한 두자리, 즉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자리가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는 ‘파동은 궤적을 그릴 수 없다’는 원칙과 부딪힌다. 하지만 이는 중력 이론이
잘못
됐다기보다는 ‘거시적인 물체에서는 왜 궤적이 가능해지는가’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모자라기 때문이다. 양자적인 물체(입자)들이 많이 모여 거시적인 물체를 이룬 경우 양자역학이 어떤 현상을 만들어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