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공부하겠다고 마음을 먹는 게 맞아. 단지 돈을 벌기 위해 의사라는 직업을 택한다면
잘못
된 생각이야.” “사실 아직까지 딱히 하고 싶은 일이 안 떠올라요. 과학 중에는 물리가 그나마 재미있지만 꿈이 될만한 일을 못찾았어요.” 반대로 ‘생명 존중’이 아닌 다른 목표를 갖고 있어도 의학을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공포영화가 얼마나 무서운지를 나타내는 수학공식에 대해 아느냐고 물었지. 혼자
잘못
알아듣고는…. 그리고 수학 잘한다고 하기에 당연히 아는 줄 알았죠. 이미 2004년에 영국 킹스대 수학자들이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을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공포영화의 고전인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문가들은 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띠를 ‘바르게’ 매는 습관을 강조한다. 안전띠가
잘못
된 부위로 지나가거나 꼬여 있으면 승객의 몸을 지나치게 압박하고, 안전띠를 손으로 늘려서 잡고 있으면 충분히 압박하지 못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삼송 윤용찬 팀장은 “시트에 엉덩이를 딱 ... ...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분석하고 장기기억으로 전환할 수 없다. 아무리 들어도 ‘쇠 귀에 경 읽기’란 얘기다.
잘못
된 공부 방법은 또 있다. 밤새워 공부하는 것. 2000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로버트 스틱골드 교수는 “공부한 것을 기억하려면 적어도 여섯 시간 이상은 자야 한다”고 했다. 인간은 받아들인 모든 정보를 뇌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묻는 문제에서 x =2라고 답을 쓰는 학생들이 종종 있는데, x 절편을 x =2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
된 표현이에요.‘x 절편 : 2’라고 쓰는 게 맞습니다.선생님만 알고 있는 비밀●선생님, 함수와 방정식의 차이를 설명해 주세요.함수 단원은 방정식 단원과 비교해, 해를 구하거나 정해진 방법에 따라 ... ...
도넛의 여왕 '안질리나 도나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주면서 말했다. 그 때였다. 다시 썰렁홈즈가 소리쳤다.“활에 맞은 도넛의 구멍 모양이
잘못
됐다!”문제 2추장이 들고 있는 도넛은 가짜? 그러면 진짜 도넛은 무엇일까? 도넛 폭발을 막아라!“발표하겠습니다. 구멍 뚫린 도넛 발명의 원조는…. 바로 핸슨 크로켓 그레고리!”드디어 도넛 구멍을 누가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기업 등은 곤란을 겪는다. 하지만 전문가의 위험인식이 올바르고 대중의 위험인식이
잘못
됐다고 판단한다면 이는 정말 큰 문제다. 2008년 미국 쇠고기수입 협상과 관련한 인간광우병 위험 촛불시위의 배경에는 이런 위험 인식 차이와, 그 차이를 정부가 인정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있었다. 대중과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경쟁 분위기를 만들어 학생들이 더 많이 공부하도록 하려는 취지는 좋지만 방식이
잘못
됐다는 의견도 많다”고 말했다. 영어 강의에 대해 재학생들은 “제자들에게 최대한 많은 것을 가르치고 싶은 마음은 모든 교수님이 같은데, 영어 말하기 능력에 따라 수업의 양과 질이 다르다”며 ...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신의 발명이 일이었기 때문에 따로 보상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잘못
된 생각이다. 법을 잘 몰랐기 때문에 마땅히 누렸어야 할 권리를 놓친 것이다. 직무발명보상금 제도는 이럴 때 발명을 한 과학기술자가 자신의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특허권의 주인을 밝혀 주고 적절한 ... ...
지식산업 밝힐 경영과학의 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경제잡지 최신호까지…. 책장만 봐서는 도무지 공대 교수의 연구실 같지가 않다. 기자가
잘못
찾아온 걸까.연구실 전경이 낯선 이유는 박 교수가 ‘경영과학(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을 연구하기 때문이다.“경영과학은 기업을 경영할 때 쓸 수 있는 공학적인 도구를 개발하는 학문입니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