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결과 수면을 조절하는 부위인 뇌교(pons)에 있는 신경세포(뉴런)에 β1-아드레날린수용체
밀도
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이 수용체의 변이형을 지닌 사람은 카테콜아민의 신호에 다르게 반응해 그 결과 적정 수면시간이 두 시간 정도 짧아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생쥐 뇌교의 β1 ... ...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초고속 반도체의 꿈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트랜지스터가 등장한 지는 20년이 넘었다. IBM은 1998년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고
밀도
집적회로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인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하나를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를 회로로 만들고 집적하는 기술 개발이 어려워 이후 진척이 더뎠다. 그러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2013년 ... ...
암 중심부까지 약물 보내는 '트로이 목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면역세포는 외부 자극에 따라 몸속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면역세포가 혈관
밀도
가 낮은 종양 중심부로 쉽게 이동한다는 것이 이전 연구에서 밝혀지기도 했다. 연구팀은 면역세포를 암세포에 약물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활용하기 위해 몸속으로 항체와 약물을 포함한 나노입자를 ... ...
의료폐기물 대란 '일회용기저귀'…과학계 "분리 수거후 즉시 소각만이 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다른 폐기물들과 함께 섞여 있다는 점이다. 그는 “특히 기저귀는 다양한 병원균이 고
밀도
로 존재하는 고온다습한 환경”이라며 “일반 폐기물과 섞이는 과정에서 기저귀가 터지거나 벌어져 밖으로 노출될 경우 공중에 확산되거나 곤충이나 쥐 등으로 인해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 ...
고생물학자들 "세계 최대 진주 공룡 발자국 화석지 현지 보존해야" 성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등 현장 연구자 50명이 참여했다. 진주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세계 최대 규모, 최대
밀도
의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다. 초등학교 교실 하나 정도 크기의 넓이의 지층에 1만 개 이상의 공룡 발자국이 집중돼 있다. 기존에 가장 많은 발자국이 집중된 화석산지로 알려져 있던 볼리비아 등보다 월등히 ... ...
"당신이 5년내 숨질 확률 100%입니다"… 사망률 맞히는 '쪽집게 바이오마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때 생성돼 혈류로 들어가는 '유미지립(XXL)과 초저
밀도
지질단백질(VLDL)의 양'에 비해 '고
밀도
지단백질(HDL)'이 많을 때, VLDL 입자의 평균 지름이 작을 때, '지방산 총 양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농도'가 클 때 사망 위험이 낮아졌다. '히스티딘'과 '류신', '발린', '알부민'은 혈중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 ... ...
"중성자별 블랙홀 병합 중력파 관측" 과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알지 못하던 작은 블랙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연구자들은 이번 관측을 통해
밀도
가 높은 중성자별에 물질이 얼마나 단단하게 축적돼 있는지 등 중성자별의 특성과 구조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블랙홀과 중성자별로 구성된 쌍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단서도 찾을 수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용하는 독창적인 방법으로 이 미세한 튜브를 좁은 지역에 마치 아파트단지처럼 고
밀도
로 세우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그래핀을 이용해 전극을 붙이고, 이들을 모아 진공 튜브로 제작해 효율이 높고 전자의 발생 시간과 양을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X선 튜브를 완성했다. ... ...
항산화 원리 이용해 리튬공기전지 수명 약 10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6배 이상 늘리는데 성공했다. 리튬공기전지는 흔히 쓰이는 리튬이온 2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가 3~5배 높아 차세대 배터리로 평가받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송현곤∙곽상규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생체반응을 모방한 촉매를 개발해 리튬공기전기의 성능을 높이고 수명을 ... ...
박호석 성대 교수 8월의 과학기술인상…‘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출력이 높고 충방전 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에너지
밀도
가 낮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박호석 교수 연구팀은 포스포린을 활용한 고효율, 고출력, 고안정성 슈퍼커패시터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인(P)에 고온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는데 이 흑린 표면을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