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생겨났고, ‘디센트’시리즈, ‘퀘이크’시리즈 등이 3D 게임의 명작으로 꼽힌다. 그래픽
기술
자체로는 가장 미래지향적인 분야의 게임이라 할 수 있다.PC게임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레인보우6를 모르시는 분이 있을까. 거의 없을 것이다. 이 게임의 인기는 스타크래프트에 약간 못미치지만 엄청나게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중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곳은 1986년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 설립돼 실리콘밸리로부터
기술
과 인력을 수혈받고 있는 알마덴 연구소. 이곳은 1996년 11월 라스베이거스 컴덱스에서 개인영영네트워크(PAN)를 선보여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사람 몸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해 커뮤니케이션하는 능력을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를 이용해서 초속 6km로 분사되는 레일건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그러나 레일건은 현재
기술
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다. 우선 열로 소모되는 에너지 손실이 너무 크고, 레일건의 반발력이 너무 세서 총 자체의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하기 힘들다. 또 강력한 전력 공급기를 내장해야 하는데,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한다. 레이저로 암을 치료하는 것도 같은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광통신에도 그
기술
이 이용되고 있다.레이저를 처음 생각한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1915-). 1951년 컬럼비아대학 교수로 있던 시절 그는 진공관으로 만들 수 없는 매우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상업화 단계에 있는 이러한 고전압 살균방법이 국내에서도 개발돼 화제다. 순수 국내
기술
로 저온 살균 시스템의 국산화 시대를 연 주인공은 한국전기 연구소의 유동욱 박사와 백주원 선임연구원, 이번에 개발된 25kW급 식음료 살균처리시스템으로 주스인 경우는 15분 정도 처리하면 완전히 살균할 수 ... ...
DNA에 암호를 담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암호를 단시간 내에 읽어내고 보통의 DNA와 구분해내려면 DNA 컴퓨팅
기술
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를 찾아내는 것이 복잡해서 보안에 유리하고 많은 양의 DNA로 정보를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세계의 정보기관에서 눈독들이고 있다 ... ...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1세기는 로봇과 사람이 협동하는 시대다. 이제 수술용 텔레로봇 시스템은 21세기형 의료
기술
임은 물론 인간과 로봇의 협동을 선도하는 견인차가 될것이다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낙서 이후 유물로 남은 마방진은 뒤러의 4행 4열 마방진이다. 16세기 초 독일의 광석
기술
자였던 알브레히트 뒤러는 자신의 관뚜껑에 ‘멜란콜리아’라는 4행4열의 마방진을 새겨놓았다. 그리고 이 마방진의 맨 아랫줄 가운데 두칸의 숫자는 15와 14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를 연속해서 쓰면 그가 죽은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한 개체가 비정상적으로 노령화됐음을 알리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다. 국내에서 복제
기술
을 활용해 우량 젖소와 한우를 생산하는데 성공한 황우석 교수(서울대 수의학과)는 바로 이 점을 지적한다.황교수는 “돌리의 생식능력이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볼 때 돌리는 젊은 양으로 판단된다”고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다시 한번 달을 보자. 달착륙이라는 인류의 도전을 위해 노력했던 미국과 러시아의 과학
기술
자들을 생각하면서. 어제와는 다른 달을 보자. 단순히 한 인간이 달에 깃발 하나를 꽂고 온 달이 아니고 물의 발견으로 새롭게 우리를 유혹하고 있는 달을 말이다. 그리고 잊혀졌던 달기지 건설의 부활을 ... ...
이전
881
882
883
884
885
886
887
888
8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