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4. 환경공학자 황석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오염물질의 양은 엄청나게 증가하자, 자연스럽게 오염물질을 만들지 않는 청정
기술
의 개발이 환경공학의 초점이 됐다. 하지만 이것도 그리 만만하지 않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이제는 만들어진 폐기물의 재활용이 주목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폐수로부터 연료를 만드는 것도 그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235를 확보하는 것. 이를 정제하기 위해서는 연간 전력 생산량의 10%가 필요했다. 또
기술
력으로는 10년이 걸린다는 보고도 나왔다. 결국 독일이나 미국도 개발하기 힘들 것이라고 보고 일본은 핵폭탄 개발 계획을 철수했다.소련의 핵폭탄 연구는 1939년 36세의 핵물리학자인 이고르 쿠르차토프의 ... ...
뇌과학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교수(기초과학과정)는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 1위의 메모리 반도체 공정
기술
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뇌연구의 전망을 더욱 밝게 한다”고 말한다.방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해 고차원의 정신활동을 하는 두뇌는 아직 인간이 정복하지 못한 미지의 연구 분야다. 뇌과학연구센터는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어려워도 과학과
기술
이 더욱 발달할 미래에는 가능해 보인다. 단 우리 인류가 그러한
기술
을 성취하기 전에 서로 싸워서 멸망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 ...
한국야쿠르트 이은선 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한두가지가 안니다. 국내 최초로 발효유 사업에 진추랗면서 일본과 합작을 이뤄낸 것,
기술
독립을 위해 식품관련분야에서는 드물게 25년전 자체연구소를 설립해 연구개발에 투자한 점, 소유자와 전문경영인이 분리된 독립경영을 이뤄낸 것, 20년전 평택공장에 첨단 폐수처리 시설을 도입해 정화돼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연구진들은 키를리안 사진술을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 의학영상
기술
과 결합하는 의료진단 시스템의 개발을 꿈꾼다. 러시아인들은 키를리안 사진기로 운동선수의 대사활동을 점검하여 훈련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이른바 정신과학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X선 컴퓨터 단층촬영(CT) 30년, MRI가 등장한지는 15년이 됐다.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과학
기술
에 가속도가 붙은 듯하다. 이 가속도에 가속도를 더하는 사람이 바로 그다. 마징가 Z를 보며 로봇을 만들려는 꿈을 키웠던 그. 물론 그 꿈은 이뤄지지 못했다. 하지만 글을 쓰거나 강연을 통해 미래세대에게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먹다가 갑자기 얼음구덩이로 빠졌던 모양이다.러시아과학아카데미에서는 최근 생명공학
기술
을 이용해 코끼리의 암컷에서 매머드를 출산시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자는 얼음 속에 있던 수컷 매머드에서 얻고, 난자는 암컷 코끼리의 것을 사용한다는 것. 머지않아 사라졌던 매머드가 시베리아에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3-4년 밖에 안된다. 또 정보보안 분야의 소프트웨어는 다른 소프트웨어보다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다. 우리도 국내시장과 국제시장에서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가능성! 이것이야말로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최대의 희망이 아닐까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5. 특허심사관 안소영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직업 자랑을 해보라고 권했다. “심사관 각자가 독립적으로 일처리를 할 수 있고 늘 첨단
기술
을 접해야하므로 항상 공부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기분 좋은 긴장감 속에서 지낸다. 연구실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는 느낄 수 없는 즐거움이다.” 이것이 서울대 암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자리를 박차고 ... ...
이전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