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발
하느님
신령
귀신
최고의 신
주신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신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쇼킹사이언스] 동글동글, 요정의 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가득 차 있어요. 예전부터 이 지역에 살던 나미비아의 원주민인 힘바족은 이 원들을 ‘
신
의 발자국’이라고 불러왔답니다. 원의 지름이 평균 10m이기때문에 생물이 만들 수는 없을 거라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다르게 보고 있어요. 사막에 살고 있는 생물들이 이 원을 만들었을 거라고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
수학동아
l
201605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학교 교내 수학대회에서 우승해 연예계 대표 수학의
신
으로 등극했다. 2007년과 2008년에는 수학 대결을 벌이는 일본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해 동경대 수학과 학생들을 꺾고 2년 연속 우승하는 저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연예계 생활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그의 수학 실력은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과학동아
l
201605
정도로 연구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이 때문에 출연연에서 비정규직을 줄이고 대
신
정규직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런데 이 방법만으론 젊은 과학자들의 고용불안을 해결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대학을 포함한 전체 과학계 차원에서 좀 더 구조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다음 파트에서 ... ...
[지식] 배구, 스마트하게 변
신
하다
수학동아
l
201604
있다는 장점도 있다.한국프로배구는 외국인 선수 한 명을 포함시켜도 된다. 상대적으로
신
체적 기량이 뛰어난 선수를 경기에 투입해서 힘 있고 빠른 경기로 관중을 끌기 위해 도입한 제도다.그런데 한국 배구경기에서 힘과 체력이 강한 외국인 한 선수에게 모든 공격 기회를 넘기는 모습을 자주 볼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04
악어의 전성기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였다. 트라이아스기가 끝나자 모든 것이 180˚ 바뀌어버렸다.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대부분의 악어는 절멸해 버 ... 밑에서 조용한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굵고 짧게 가는 전략은 버렸지만, 대
신
가늘고 오래 가는 전략을 선택한 셈이다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
수학동아
l
201604
인간 지성의 위대함을 보여준 것과 불리한 상황을 자처해 다시 도전하는 도전 정
신
이 아닐까.알파고는 바둑 두는 법을 어떻게 배웠을까? 사람이 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처럼 정해진 교육과정에 따라 공부했을까? 알파고는 ‘딥러닝’을 활용해 프로 바둑기사들의 패턴을 학습했다.딥러닝은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
버텼답니다.추운 날씨에 굳어 있던 기자들의 얼굴이 실험을 마칠 때 즈음엔 환하고
신
나는 표정으로 바뀌었어요. 즐거운 과학실험이 기자들의 ‘난로’ 역할을 해 주었거든요. 독자 친구들도 추운 겨울을 과학실험으로 따뜻하게 보내 보세요~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04
때문에 당황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딥마인드의 대표인 데미스 하사비스는 자
신
의 SNS에 “알파고는 이세돌이 78수 자리에 착수할 확률을 1만 분의 1 이하로 예측했기 때문에 이세돌의 움직임에 매우 놀랐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학습하지 않은 데이터를 어떻게 찾아야할까. 알파고는 온라인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4
14년 우승자인 캐나다 앨버타대 ‘앨버타 봇(UAlberta Bot)’은 개발자가 직접 전략을 짜는 대
신
, 인공지능 스스로 전략을 짜 다른 인공지능과 대결을 펼쳤다. 재작년 대회를 석권한 일본 리쓰메이칸대 ‘아이스봇(Ice_bot)’은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수학공식을 활용해 대규모 병력을 자연스레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100명이 넘는 과학자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올해 안에 MOU를 맺고 협력할 계획이다.
신
선임연구원은 “2020년 완공하면 LSST를 통해 찾아낸 천체를 2021년 가동 예정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으로 후속 관측하는 등 기존에 추진해 온 다른 천문학 프로젝트와도 연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