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담
격언
속어
d라이브러리
"
속설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게임이 머리에 좋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하면 게임이 지능개발에 도움이 된다며 계속하는 친구도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런
속설
이 틀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연구팀은 평소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세 개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를 골라 하도록 시켰어요. 사람들은 평균 20시간 이상 게임을 했고, 이 ... ...
잘 먹어야 공부도 잘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낮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보이겔러스 박사는 “잘 먹은 어린이가 공부를 잘한다는
속설
이 있긴 하지만 이를 입증할 만한 실험이 진행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며 “식생활 외에 부모의 수입과 교육 수준, 학교, 성별 등을 바꿔가면서 실험해 본 결과, 식생활 습관이 좋을수록 시험 결과도 좋다는 ... ...
타자는 젖은 야구공을 싫어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5.34로 떨어졌다. 방어율이 낮을수록 실점이 적다는 뜻이다. 마이어 교수와 본 교수는 이
속설
을 확인하기 위해 야구공 15개를 습도가 각각 32%, 56%, 74%인 방에 2주 동안 보관한 뒤 공의 무게와 지름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 컴퓨터로 공이 날아가는 높이와 거리를 계산했다. 그 결과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능력이 미약함을 깨닫고 꾀를 썼기 때문이다. 쥐의 해에 태어난 사람은 머리가 좋다는
속설
이 있다. ‘꾀돌이’ 쥐의 속성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전염병 옮기는 불청객누구나 한번쯤은 천장을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쥐의 소리를 들어봤을 것이다. 잠을 자려던 아이는 ‘찍찍’대는 쥐 소리에 ... ...
크리스마스 때 DNA맞춤식단 주문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없을까.올해 영국 BBC방송은 6부작 다큐멘터리 ‘음식의 진실’을 통해 음식에 대한
속설
을 하나씩 검증했다. 2년의 제작기간이 걸렸고 세계 각국의 전문가 50여명과 실험참가자 500여 명이 참여했다. 한번은 10일만에 음식조절만으로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내려 보자는 계획을 짰다. 실험참가자들은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그리고 번식기에야 짝을 찾아 나선다.코알라가 유칼리나무 잎에 취해 있어 잠만 잔다는
속설
이 있다. 사실 코알라가 소화하는 과정에 발효가 일어나지만 이때 알코올은 전혀 안 생긴다는 게 관련 전문가의 설명이다. 그렇다면 정말 코알라는 게으른 걸까. 이곳 안내인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A형은 소심하다?“A형은 소심하다.”“B형은 제멋대로다.”혈액형과 성격에 관한 수많은
속설
은 과연 사실일까? 절대 그렇지 않다. 혈액형과 성격이 상관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사람의 성격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정해지며 환경이나 자신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혈액형별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사람이 바르게 배열된 치아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치아교정과 관련된
속설
어릴 때 교정치료를 하면 턱이 돌아간다? 돌아간 턱 바로 잡는 방법이 교정치료!간혹 교정치료 중에 턱이 돌아간다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교정치료와 무관하게 왼쪽과 오른쪽 턱뼈의 성장 차이로 턱이 ... ...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승부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선수들이 인상적이다. 골대 징크스는 통계적 결과‘골대를 맞히는 팀은 진다’는
속설
은 오래 전부터 축구계에 전해 내려온 징크스다. 2002 한일 월드컵대회에서 프랑스는 본선 조별 3경기에서 5차례나 골대를 맞히는 불운 끝에 무득점으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특히 세네갈과의 개막전에선 ... ...
적록색맹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몰론 교수는 “2차 세계대전 때 색맹인 사람들이 적군의 위장을 알아채는데 탁월했다는
속설
이 있었다. 이번 연구가 이를 증명한 셈”이라고 말했다. 나뭇잎 등 주변 배경과 비슷하게 보이는 위장색은 보통사람에게는 잘 안보이지만 적록색맹인 사람에게는 좀더 뚜렷하게 보인 것으로 추측된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