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담
격언
속어
d라이브러리
"
속설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매운 음식의 섭취와 한국인의 높은 위암 발생률이 관계가 깊다는
속설
은 재고돼야 한다. 오히려 캅사이신의 위장보호효과에 대한 좀더 과학적인 조명이 필요하다고 본다.고추는 우수한 기능성 식품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고추나 캅사이신이 발암억제제 또는 항암제로 작용할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극단적인 점진론은 도저히 수용할 수 없습니다. 두분의 점진론은 따지고 보면 실제로 등
속설
에 가깝다고 할 수 있거든요.데넷(D팀): 안타깝게도 저희들의 비판을 아직도 제대로 이해하고 계시지 못한 것 같군요. 다른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헝가리 부부 한쌍이 한국을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세상에 알려진 첫 순간이었다.사실 초전도 현상은 모든 물질이 저항을 가진다는 당시
속설
과는 정면 배치되는 것이었다. 일반적인 도체의 결정격자 구조는 불순물, 구조 결함, 이온들의 진동으로 불완전한 형태를 띤다. 이 때문에 전기를 가하게 되면 자유 전자들의 충돌로 인한 열로 도체 내에 저항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있는 이유옛말에 사내아이는 아랫도리를 차게 키워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 단순히
속설
처럼 보이지만,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말이다. 고환에서 형성되는 정자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은 현대에 들어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즉 정자는 고환의 온도가 체온보다 3-4℃ 정도 낮아야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남녀의 띠를 따져 예를 들어 호랑이띠 여자와 양띠 남자는 성격이 맞지 않는다는
속설
을 말하곤 한다.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듯 호랑이가 양을 잡아먹는 것을 빗대 여자가 남자를 몰아세울 게 뻔하니 맞지 않다고 유추한 것이다. 아무런 근거가 없는 것임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말띠 여자는 성질이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두 영화에 등장하는 천재는 정신병을 앓고 있다. 천재 중에 정신병 환자가 많다는
속설
이 있다. 그러나 천재성과 정신병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 관계가 없다고 한다. 만약 천재들이 정신병에 시달린다면 그 책임은 우리들에게 있다. 마치 신인상을 수상한 야구 선수가 몇년 간 슬럼프에 빠지는 것처럼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프리킥을 전문으로 하는 일부선수들이 축구화 앞쪽에 까칠까칠한 가죽을 덧댄다는
속설
이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있다는 얘기다.그렇다면 비가 오는 날처럼 마찰 계수가 0인 상황에서는 공에 회전을 줄 수 없을까. 그렇지 않다. 아사히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의 회전수는 공의 ... ...
제왕의 등장 알리는 징표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용의 경우에도 여성에게 좋지 않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엉뚱한
속설
이 우리나라에서 계속 기세를 펼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 결혼 정보회사가 미혼 남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6.3%가 말띠 여성은 싫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말띠 여성이 기가 드세다는 생각 보다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가졌다고 믿었다. 우리나라에도 개가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귀신을 보고 짖는다는
속설
이 있다.그런데 기대와는 달리 놀라운 후각과 청각을 가지고 있는 개는 시각이 매우 약하다.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경우에는 바로 앞에 있는 주인도 알아보지 못할 정도이다. 하지만 야성을 간직하고 있는 개의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우리나라에는 닭을 잡아 삼킬 정도 크기의 뱀도 없으면서, 뱀이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속설
이 여럿 있다. 이런 얘기는 우리 민족이 중국 대륙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도중에 체험했던 얘기가 전해진 것일 수도 있다.두갈래 혀는 독침이 아니다뱀은 시각, 청각, 후각 중에서 후각이 가장 예민하다. 콧구멍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