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되는 수를 모두 지운다. 이 작업을 계속 반복한다고 생각해보자. 결국 마지막에는 2, 3, 5, 7, 11, …처럼 소수만 남을 것이다. 이게 바로 에라토스테네스가 고안한 소수 판정법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다. 더 시야를 넓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해 N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소수를 찾아보자. 커다란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대부분은 중요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 모두 ‘메르센 소수’라는 점이다. 메르센 소수는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소수로, 2의 거듭제곱에서 1을 뺀 모양의 소수다. 왜 모두 메르센 소수일까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곡선 암호, 격자 암호 등 여러 종류를 쓰지만, 가장 많이 쓰는 건 RSA 암호다. RSA 암호는 1977년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수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 아디 샤미르, 레너드 애들먼이 ‘무척 큰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건 어렵다’라는 사실을 이용해 만든 ‘비대칭 암호’다. 비대칭 암호는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협동로봇에 해당한다. 그런 협동로봇이 지능을 더해 점점 똑똑해지는 추세다. 2023년 7월 구글 딥마인드 팀이 공개한 AI 협동로봇 ‘RT-2’는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학습해 ‘테일러 스위프트에게 콜라를 줘’와 같은 명령어를 이해하고 행동한다. 협동로봇에 지능을 더하는 원리가 궁금하다면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장수진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 대표는 1월 7일 과학동아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훕 울음소리는 혹등고래를 집중시키기에 좋은 소리”라며, “트웨인이 연구팀이 들려준 소리를 이해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간보다는 플레이백 소리 자체와 대화를 했다고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p라는 식으로 모든 소수의 순서대로 나눈다면 반드시 1이 남는다. 왜냐하면 2 × 3 × 5 × 7 × … × p는 나머지 없이 나눠떨어지지만, 거기에 다시 1을 더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 수는 어떤 소수로도 나눠떨어지지 않는다. 결국 이 수는 합성수가 아닌 소수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문제는 그렇게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푼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736년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놓인 7개의 다리가 있었는데, 이곳의 사람들이 한곳에서 출발해 다리를 한 번씩만 지나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지 궁금해했다. 이게 바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다. 오일러는 점과 선을 이용한 그래프로 ...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쌍둥이 소수는 소수만 쭉 나열했을 때, 간격이 딱 2 차이 나는 소수 쌍을 말한다. (3, 5), (5, 7), (11, 13)을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 소수를 p라고 하면 (p, p+2)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하게 (43, 47)처럼 이웃한 두 소수 사이의 간격이 4인 소수 쌍을 ‘사촌 소수’라고 부른다. ‘육촌 소수’도 있는데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전화번호는 4937775로, 자릿수를 모두 더한 값은 42이고, 4937775를 소인수분해한 3×5×5×65837의 자릿수를 모두 더해도 42가 된다. 스미스 수는 11, 1111111111111111111처럼 1을 반복해서 쓴 수가 소수일 때 3304, 1540, 1720, 2170, 244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척박한 한국 기초과학 연구에 조금이나마 단비가 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77년 한국과학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의 전신)이 설립되면서입니다. 과학기술 연구 지원을 위해 설립한 이 재단을 통해 대학에 기초과학 연구비가 지원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도 한국은 응용과학 연구를 우선했을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