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려시대 선박, 잠에서 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발견 당시 남아 있던 선박의 규모를 측정한 결과, 배의 길이는 최대 13.4m, 폭은 최대 4.7m에 달했어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노경정 연구사는 “배의 바닥 면인 저판의 규모로 따졌을 때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굴된 고선박 중 가장 큰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숫자를 재배열해 173을 만들어도 소수라는 점을 알게 돼 317을 가장 좋아한다”라며, “317이 들어간 수학 문제를 만나면 괜히 반갑고, 또 숫자 하나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이 즐겁다”라고 설명했다. 정수론 연구의 시작은 이렇게 수의 성질에 호기심을 가지는 행동이다. 정시우 학생은 “10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제외하면 모두 6n 꼴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17은 6의 배수인 18보다 1이 작은 수이고, 1777은 6의 배수인 1776보다 1이 큰 수다. 이 결과로 쌍둥이 소수 쌍도 3과 5를 제외하면 모두 6n 꼴이 된다. 쌍둥이 소수를 만들어 내는 공식인 60nn 도 고안됐다. 하지만 이 식에서는 n이 1에서 13일 때까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밟았다. 꿈을 이뤄가는 듯했으나 퍼듀대를 졸업한 뒤 또 다른 시련이 찾아왔다. 무려 7년 동안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 곳곳을 전전하며 샌드위치 가게, 숙박업소, 레스토랑 등에서 임시직으로 일하며 생활비를 벌었다. 집세를 내지 못해 한동안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움직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북아메리카와 유럽은 1년에 2cm씩 멀어지고 있습니다. ‘5대양 7대륙’의 지구가 미래엔 다른 모습이란 뜻입니다. 판게아 프록시마 혹은 판게아 울티마라고 부르는 초대륙은 초대륙 주기에 따라 2억 5000만 년 뒤에 만들어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크리스토퍼 스코테즈 미국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람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섹시 소수라고 이름을 지었다. 섹시 소수 중에 (5, 11, 17), (7, 13, 19), (11, 17, 23)처럼 (p, p + 6, p + 12)가 모두 소수인 경우를 ‘세쌍둥이 섹시 소수’라 하고, (5, 11, 17, 23), (11, 17, 23, 2 ...
- 포장의 달인 소시지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경계는 56개다. 즉 구의 개수가 56개 이하일 때는 소시지 모양으로 포장하는 것이 좋고, 57개부터는 중심을 기준으로 빽빽하게 뭉쳐서 포장하는 것이 좋다. 문제는 4차원에서부터다. 2, 3차원까지는 어떻게든 상상도 되고 복잡해도 계산해볼 만했지만 4차원, 5차원, 6차원으로 쭉쭉 나아가면 구가 ... ...
- 원두 맛 끌어올리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카페에서 1년간 이 방법으로 커피를 판 결과 한 잔당 13센트씩 1년간 3620달러(약 478만 원)의 재료비를 절감했다고 한다.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5초에서 7~14초로 줄어들었고, 커피 추출 수율은 18%에서 22% 로 높아졌다. 여기서 커피 추출 수율이란 커피에서 커피 고형분이 얼마나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2마리, 5이면 3마리 이렇게 말이다. 그런데 이 경우 문제가 있다. 모인 사람 수가 4명, 6명, 7명, 9명, 10명일 때는 답이 없다는 것. 즉 피보나치 수열에는 없는 자연수가 많다. 다행히 서울대 학생은 이 경우에도 해답을 제시했다. 이름도 낯선 ‘제켄도르프 정리’를 이용해 피보나치 수로 분해해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패턴은 기본 패턴 요소를 7가지 방법으로 이동시켜서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생기는 걸음걸이(한 발 뛰기)는 평행이동을 하면 서로 겹쳐진다. 그런데 치타가 뛰면서 만드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