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스페셜
"
속
"(으)로 총 2,4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교수는 “GIST는 지난해 QS 세계대학평가의 교수 1인당 교수 피인용수 부문에서도 16년 연
속
국내 1위를 달성하는 등 세계 정상급 연구역량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정해진다는 인식은 24절기를 표시한 ‘책력’(冊曆)을 사용하던 시절에 시작된 잘못된
속
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회회력에 태양의 공전주기인 365일을 반영하려면 어쩔 수 없이 적절하게 ‘윤달’을 배치해야만 한다. 19년에 7번의 윤달을 끼워 넣는 일은 간단치 않았다. 고도의 천문관측 기술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 페니실린을 살려내어 세상을 바꾼 플로리와 체인 앞선 발견과 아무 차이가 없이 역사
속
으로 사라져가던 페니실린을 살려낸 학자는 플로리(Howard Walter Florey)와 체인(Ernst Boris Chain)이었다. 1935년부터 옥스포드대에서 병리학교수로 일하기 시작한 플로리는 이듬해에 체인을 초빙하여 함께 연구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수술방법을 소개해 놓았다. 그가 기술한 방법은 구부러진 바늘을 사용하여 렌즈를 눈
속
으로 밀어 넣는 것이었다. 흐릿해진 수정체 부위를 젖히거나 제거하여 빛이 자유롭게 각막을 통할 수 있게 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이다. 이런 시술을 시도하면 눈이 더 이상 초점을 제대로 맞출 수 없으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선택된 구성이 나오는데 필요한 기억(정보)의 양을 포착한 값이기 때문이다. ‘기계
속
의 악마’에서 저자는 “생명 물질을 완전하게 설명해내려면 분명 무언가 전적으로 더욱 심오한 것이 필요하다”며 “물리법칙 자체의 본성을 새로 고쳐 써야 하는 것이다”라고 결론지었다. 이런 맥락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쿵쿵 ' 심장박동 일으키는 근단백질 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25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에 형형색색의 나무를 모아둔 것 같은 심근(심장근육)
속
미오신 필라멘트의 한 조각을 실었다. 로저 크레이그 미국 메사추세츠 챈 의대 세포생물학부 교수 연구팀과 슈테판 라운저 독일 막스플랑크분자생리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지난 11월 1일 각각 심장 근육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그걸 씹어서 삼키고 소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영양 흡수의 측면에서는 별로 실
속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 다양한 매체나 열정적인 강사의 존재가 어떤 때는 되려 주의 집중을 흐트릴 수도 있을 것 같다. 교과서에서 예쁜 사진이나 일러스트가 나오면 되려 갑자기 낙서를 하며 수업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빛을 이용하는 광자 반도체(포토닉 칩)은 전력 소모는 줄이고 기존보다 수십 배 빠른
속
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특히 인공지능(AI), 고성능 센서 등과 결합해 빠른 정보 송·수신을 가능케할 것으로 전망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돕는 과정에서 재건술과 미용수술이 동시에 발전했다. 의학의 발전은 역사, 사회, 문화
속
에서 발전함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Philippe Hernigou. Medieval orthopaedic history in Germany: Hieronymus Brunschwig and Hans von Gersdorff. International Orthopaedics (SICOT) (2015) 39:2081–2086 2. American Cosmetic Asssociation(ACA)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가젤
속
동물인 '게레눅'의 모습을 실었다. 아프리카 동남부에 서식하는 게레눅은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대표적인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계층이다. 특히 자연 환경에서 식물의 풍부함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