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사율 60%, 진균성 뇌수막염 유발 유전자 대거 발견
2015.04.08
유발하는 거의 모든 전사조절단백질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임상
실험
까지 포함해 이르면 10년 뒤 항진균제나 뇌수막염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지난해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
이 성공했고 조만간 영장류
실험
을 진행한 뒤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식물도 재료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연잎 표면의 미세한 돌기 구조가 초소수성(superhydrophobicity)을 띠게 해 물에 젖지 않는다는 ... ...
암덩어리 중심까지 약물 전달… 나노기술로 항암제 효과 높였다
2015.04.06
외벽을 뚫고 암세포 어디로든 들어간다는 사실 역시 찾아냈다.
실험
용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
결과 종양조직 어디로든 항암제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관찰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국내 제약회사와 공동으로 각종 항암제의 전달 효과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 교수는 ... ...
내 면역세포로 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2015.04.05
암세포는 이 수용체를 활성화시켜서 면역세포를 무력화시킨다. 엘리슨 교수는 쥐
실험
에서 이 수용체의 작동을 막는 항체를 주입한 결과 암세포가 사라진 사실을 확인했다. 그 결과 전이성 흑색종 면역치료제 ‘이필리뮤맙(Ipilimumab)’이 탄생했으며 현재 환자 치료에 쓰이고 있다. 엘리슨 교수는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나침반처럼 생각하고 몸이 어느 쪽으로 가는지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쥐
실험
을 진행했다. 철새는 태어날 때부터 체내에 고유한 자기장 나침반을 갖고 있어, 이동 시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이동 경로를 정한다. 연구진은 눈먼 쥐의 뇌에 시각피질을 자극하는 전극을 2개 삽입한 뒤 ... ...
기억 심었다 지웠다…영화가 현실로
2015.04.03
두려운 기억을 심는
실험
에 성공했다고 ‘셀 리포트’ 2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실험
용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은 둥근 방에, 또 다른 그룹은 네모난 방에 6분간 가뒀다. 이후 연구진은 쥐에게 무서운 기억을 생성시키기 위해 두 그룹을 모두 네모난 방에 모으고 다리에 전기충격을 ... ...
지긋지긋한 항암제 부작용 없애는 기술 나왔다
2015.04.02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트랩1(TRAP1)’을 이용해
실험
했다. 트랩1과 약물간의 결합구조를 파악하는데 주목한 결과 그 동안 알지 못했던 트랩1의 작용기전을 새롭게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 사실을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목발 대신 ‘외골격 로봇’ 신어 보세요
2015.04.02
밀어낼 때 스프링이 수축하면서 종아리 근육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 주는 것이다.
실험
결과 외골격 로봇을 신고 걸으면 인체 에너지의 약 7%를 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적은 양이지만 비슷한 형태의 동력을 이용하는 보조 장치와 큰 차이가 없는 수치다. 콜린스 교수는 “동력 없이 ... ...
“오늘 내가 아낀 전기세는 얼마?”
2015.04.01
전력량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식이다. ETRI는 실제 연구실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실험
한 결과, 조명에서 15%, PC에서 30%의 에너지 절감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일우 에너지IT기술연구실장은 “신호기 하나 가격이 1만원 이하로 전기절약을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단순하면서도 큰 비용이 들지 않도록 ... ...
수성이 달보다 어두운 이유는 뭘까요
2015.03.31
단위면적당 50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진이
실험
실에서 수행한 고속충돌
실험
에서도 탄소물질을 충돌시켰을 때 물체의 표면이 어두워지고 물체가 나타내는 스펙트럼 특징이 약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수성과 달을 관측한 결과와 동일한 특징이다. 사이얼 박사는 “수성 ... ...
이전
898
89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