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성 유방암 치료 단초 찾았다
2015.03.31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제1 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이정연 한양대 연구조교수는 “동물
실험
에서 입증한 결과를 토대로 사람 체내에서 이 유전자의 발현양을 늘릴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의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 30일자에 실렸다.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오렌지향이 난다고 느낀다. 이런 지각 왜곡의 가장 고전적인 예가 2001년 발표된 와인
실험
이다. 소믈리에 과정인 학생들에게 자주색 색소를 탄 보르도 화이트 와인을 시음하게 한 뒤 평가를 하게 하면 레드와인에 대한 전형적인 평이 나온다. 이 결과만 보면 와인 감별이 엉터리인가 싶지만 와인의 ... ...
우주서 영감 얻은 예술작품이 궁금하다면
2015.03.29
전시가 진행 중이다. 로켓을 쏘아 올리기 위한 설계부터 극한환경에 대한 여러
실험
을 담은 사진 등 우주를 과학적으로 풀어나가려는 인류의 여정을 느낄 수 있는 자리다. 이밖에 우주는 물론이고 과학과 기술을 주제로 한 재미있는 작품 30점을 만나볼 수도 있다. 김홍석, 김상길 작가 등 ... ...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자극을 줬다. 검지와 중지, 약지에 순서대로 ‘따뜻함-차가움-따뜻함’ 자극을 줬을 때는
실험
대상자가 중지에 타는 듯한 고통을 느꼈다. 반면 검지와 중지를 꼬아서 위치를 바꿔 주자 각 손가락이 느끼는 자극은 그대로였음에도 느껴지는 고통은 크게 줄었다. 이번에는 검지와 중지를 꼰 ... ...
우리 아이 ADHD 원인은 임신부 때 마신 미세먼지?
2015.03.26
능력과 같은 부분과 연관된 뇌 전두엽의 백색질 손상이 두드러졌다. 피터슨 교수는 “
실험
참가자의 소득이나, 교육환경 등이 다양하지 않아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PAH는 가정, 회사 등 어디에나 포함돼 있기 때문에 임신부의 경우 유의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 ...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3.26
연구팀은 현실에서는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직접 만질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실험
때보다 정확하게 3차원 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시각장애인은 고차원적 상상력이 더 뛰어나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수학적방법학연구실 알렉세이 소신스키 선임연구원은 그가 쓴 책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거짓말이 “굉장한 인지적 성취”라고 말했다. 권 박사는 3~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에서 실행기능이 뛰어날수록 거짓말 능력도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세 번째는 창의성이다. 주위에 타고난 ‘뻥쟁이’가 있는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거짓말인 걸 알면서도 이야기가 워낙 흥미진진해 빠져들게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27일 준공식을 마치고 본격적인 장보고-Ⅲ의 부품
실험
에 돌입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1차
실험
을 마치는 것이 목표다. - 이영혜 기자 제공 ● 정밀하게 배전반 LBTS에서 시험하는 부품 대부분은 사실 잠수함이 건조된 이후에는 눈으로 보기 힘든 것들이다. 추진전동기와 축전지, 연료전지와 같은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분화하는 것을 돕는다는 사실 역시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사실을 토대로 동물
실험
을 계속한 결과 ‘LMO2’ 유전자를 과도하게 발현시켰을 때 암줄기세포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LMO2를 면역결핍증에 걸린 생쥐의 뇌에 주입했더니 한 달도 채 지나기 전에 혈관 발달이 활발한 뇌종양이 ... ...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비만체질을 결정하는지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용 물고기인 제브라피시를 통해
실험
한 결과 플렉신D1이 결핍되면 복부나 내장지방이 적고, 지방세포 크기 또한 작다는 것을 알아냈다. 플렉신D1이 부족한 사람은 엉덩이나 허벅지에 비해 복부 지방이 적은 ‘하체비만’ 유형이 되는 것이다. ... ...
이전
89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