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1,873건 검색되었습니다.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01
밝혀왔다. 남 교수가 본격적인 레이저 기술 전파자로 나선 것이다.변변한 실험 장비
조
차 없었던 연구 초기의 어려움을 잘 견딘 덕분일까.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듯 남 교수의 열정은 고국에서 활짝 꽃폈다. 꾸준한 노력은 그 성과를 드러냈고, 현재 연구단은 세계적 수준인 200아토초 펄스를 만드는데 ... ...
6세부터 106세까지 꿈의 장난감
과학동아
l
200701
블록으로 구성돼 있다.건축물을
조
립하고 덤프트럭에 무선 수신칩을 끼운 뒤 리모컨으로
조
종해보자. 먼저 창고로 이동한다. 삽을 이용해 공을 퍼서 트럭의 적재함에 싣고, 컨베이어 벨트로 가서 공을 쏟아 넣는다. 공은 자동으로 벨트를 따라 올라간 뒤 크기에 따라 나뉘어 박스에 정리된다. ... ...
한국 우주인후보, 크리스마스에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701
처음 듣는 이름의 음식을 사먹고 레닌언덕을 찾아가는 임무였다. 다들 러시아 문화를
조
금이나마 느낄 수 있는 기회였다고 입을 모았다. 오후에는 러시아인들과 함께 작업하며 협동심을 평가받았다. 12월 8일 말로만 듣던 붉은광장을 방문한 뒤 밤 10시 40분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모두들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Ⅳ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다른 사람과 서로 도우며 일 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받기 위해 우주인 후보들은 6명씩
조
를 짜 레고 블록을 쌓았답니다. 주어진 임무는 3층짜리 건물을 만들거나 세 종류의 동물을 위한 동물원을 만드는 것. 후보들은 모처럼 어릴 적 가지고 놀았던 블록 쌓기실력을 발휘하며 멋진 작품을 만들었어요.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똥을 잘 누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임을 알았다면 이제부터 최고급 똥을 누기 위해
조
금만 더 노력하자. 변기의 물을 내리면서 얼굴에는 행복한 미소가 떠오르고 몸은 날아갈 듯 가벼워지는 그 순간을 위해~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광학현미경은 물체에 빛을 투과시켜 확대해 볼 수 있다. 광학현미경의 구
조
와 기능을 알아보자. 아하!배율은 현미경이 얼마나 확대해서 볼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접안렌즈의 배율과 대물렌즈의 배율을 곱하면 그 값을 얻을 수 있는데 배율이 클수록 확대하는 능력도 커진다. 17세기 레벤후크가 ... ...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이랑 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4
지문 검색과 혈액 판정법 등 과학을 범죄수사와 연결해 배울 수 있어요. 학생들이
조
를 나눠가상 범죄를 해결하는 시간도 있어요.3M은 무료사이언스캠프를 열어요. 국내 과학 교사와 미국3M 본사 연구원이 한국의 미래 과학 꿈나무를 양성해요. 학생들은 발명반과 과학이론반으로 나눠 자신만의 ... ...
거울여왕 '에또 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4
썰렁홈즈의 단짝인‘다무러’가 납치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범인은 거울나라에 사는 거울여왕‘에또 반사’. 목욕을 하고 나서 거울을 보고 있던 다무러가 갑 ... 집안을 가로지르는 거울이 들어와 있다. 거울여왕의 정성어린 선물이다. 너무 커서 집이
조
금 부서졌다. 비도 샌다. ㅠㅠ…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수 있어요. 게다가 영하 200℃에서 1500℃까지 실험을 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조
종도 가능하다고 해요. 우리나라 최고의 망원경!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큰광학망원경은 보현산에 있는 반사망원경이에요. 보현산 망원경은 반사경의 지름만 1.8미터로 남자어른의 키만큼이나 크죠. ... ...
한국 최초 우주인 3차 선발 체험기
과학동아
l
200612
강제로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중이로 보내는‘발살바’(Valsalva)호흡법을 해야 한다”고 강
조
했다.이어 후보자들은 고도 7.5km의 기압 수준에서 산소마스크를 벗고 저산소증에 대한 적응력을 평가받는다. 체내 산소가 부족해지면 판단력이 떨어진다. 비행기나 우주선 내부는 항상 2.4km 고도 수준의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