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칩이 점점 작게 개발되고 있는
데
요. 크기를 작게 하면서 성능이 뛰어난 신물질을 찾아 내는 일도 교수님의 연구가 큰 역할을 한답니다.이러한 연구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교수님이지만 힘든 일도 있었어요. 후에 한국과학상을 받은 초전도체의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과학 분야는‘카이스트’에서 개발한 로봇(카이 로봇)을 가지고 수업이 진행될 예정인
데
요. 한국로봇교육연구원 정재신 원장님이 개발한 창의력을 높이는 수업이라고 합니다. 이 수업은 로봇이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식으로 세상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과학 ... ...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구별이 없던 생명체가 진화와 돌연변이를 거치면서 X와 Y성염색체가 생겼으며 이 가운
데
X염색체는 진화를 거듭한 반면 Y염색체는 퇴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로스 박사는 “혈우병, 색맹처럼 X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는 유전질환이 여성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고 남성에게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전기에너지로 바꾸고 이 과정에서 양분을 만들어낸다. 우리가 잘 아는 광합성이다. 그런
데
광합성과 같은 화학반응은 1000조분의 1초 정도만에 일어나버린다. 따라서 이 과정을 제대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0조분의 1초에 한 장씩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가 필요하다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섭취해야 함께 들어있는 다른 성분이 그런 나쁜 효과를 가려줄 수 있다는 것.결국 살 빼는
데
는 ‘왕도’가 없다. 골고루 먹고 운동하는 게 지름길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앞서 프랑스 파리에서 노텔사 시스템과 자사 HSDPA폰이 고속주행 중
데
이터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지만, 아쉽게도 이번 전시회에선 공개하지 않았다. 대신 3월 14일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북미 최대정보통신 전시회인 ‘CTIA 2005’에서 북미 이동전화 사업자인 ‘싱귤러’ 마크가 찍힌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초등학생도 쉽게 재현할 수 있다.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은 많은 사람들이 반복했는
데
, 그 이유는 갈릴레오가 실제로 경사면 실험을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확실하지 않아 그 진위를 가리기 위해서였다. 과학사학자인 코아레는 순전히 수학적인 추론만으로 갈릴레오의 실험 결과들을 얻을 수 있기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용해 우주에서 재배한 콩을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 4개월 전 우주정거장으로 가는 엔
데
버호에 콩 씨앗을 실어보내 우주에서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은 것을 회수한 것이다. NASA는 당시 이 경험을 토대로 작은 작물재배실 즉 ‘우주샐러드 기계’를 만드는 계획을 검토한다고 밝혔다.NASA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모처럼 화창한 주말. 일상의 번잡함을 내던지고 간편한 등산복 차림으로 관악산을 올랐다. 땀을 뻘뻘 흘리고 마침내 정상에 오르자 차가운 바람 ... 수 없다. 앞으로 갈색구름이 아시아 지역의 기후와 농업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한국이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혜택을 준다. 그렇지만 산호초 생태계는 훼손되기 쉽다. 산호초가 있는 109개국 가운
데
93개 나라에서는 이미 산호초가 인간 활동에 의해 훼손된 상태다. 이와 같은 추세로 간다면 향후 수십 년 내에 절반 이상의 산호초가 파괴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산호초는 연안개발에 따른 토사나 오염물질 유입, ... ...
이전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다음
공지사항